학술논문
청정실 화재의 시뮬레이션 II. 제연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의 필요성
이용수 20
- 영문명
- Simulation of a Clean Room Fire II. Needs of Smoke Control System and Springkler System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외철(Park, Woe-Chul) 이만근(Lee, Man-Geun) 박헌식(Park, Hun-Sik)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0 No.2, 8~1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연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연기확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청정실 화재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바닥면적 $39m{\times}13m$ , 높이 4 m의 작업구역에 1MW의 메탄올 화재가 발생했을때, 제연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의 정상작동과 작동실패에 따른 연기누출 여부를 조사하였다. 제연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설비에 관계없이 연기가 안전하게 배출됨을 알 수 있었다. 화재확산과 연기발생을 억제하고 발생한 연기를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스프링클러설비가 필요하며, 스프링클러설비와 제연설비가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신뢰도가 높은 스프링클러설비 헤드와 자동화재탐지설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a fire in a clean room to confirm needs of a smoke control system and a sprinkler system, and to investigate a possible smoke spread-out. For a 1 MW methanol fire in a space of $39m{\times}13m$ floor and 4 m high, smoke spread-out was scrutinized for failure of the sprinkler system and/or the smoke control system. It was shown that the smoke control system removes smoke safely without the sprinkler system and that the sprinkler system is required to suppress smoke generation and spread of the fire, and to remove the smoke quick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highly reliable sprinkler heads an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re required for the sprinkler and smoke control system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터널화재시 부분배연설비의 운영방안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 파스콘 트로프의 연기유독성에 관한 연구
- 청정실 화재의 시뮬레이션 II. 제연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의 필요성
-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에 관한 고찰
- 지하철 차량 방화사고 초기대응에 관한 연구
- 전통사찰문화재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화재피해사례를 통해 본 방재대책 -
- CO₂소화제 노즐 분사각 및 분사속도가 CO₂농도분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 한국응급의료서비스 민관파트너십 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 내장재의 발화시간, 열방출율 및 최대화염 높이의 예측을 위한 반응표면방법론의 활용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