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트남 대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148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Vietnam: Focused on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Class at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유선영(Yoo, Sun-Young)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11집 2호, 91~1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에서 한국학(어)을 전공하고 있는 베트남 대학생들이 한국인 교수자가 진행하는 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여 무엇을 경험하였는지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호치민에 위치한 베트남국립대학 인문사회대학 한국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국 다문화 사회’ 수업을 사례로 규정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30명의 베트남 대학생들로부터 성찰저널, 발표자료, 면담자료, 관찰, 수업 일지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업 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에 대한 이해, 문화적 역량, 수업방식의 3가지 영역에서 학생들의 경험이 드러났다. 한국에 대한 이해 영역은 코리안 드림, 한국에 대한 현실 인식, 한국(인)과 관련된 미래 전망 3개의 주제와 7개의 하위 주제, 문화적 역량 영역은 이주자와 한국인에 대한 공감,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변화를 위한 노력 4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 수업방식 영역은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수업 활동 2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학습자에게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taught by Korean teacher. The case of this study was set as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class which was conduct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From the 30 Vietnames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reflection papers, presentation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Vietnamese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were revealed in three areas: understanding of Korea, cultural competence, and teaching method. The understanding of Korea is composed of 3 themes and 7 subthemes, cultural competence 4 themes and 15 subthemes, and teaching method 2 the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learners with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선영(Yoo, Sun-Young). (2019).베트남 대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사례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11 (2), 91-118

MLA

유선영(Yoo, Sun-Young). "베트남 대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사례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11.2(2019): 9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