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우울, 영양상태 및 인지기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2
- 영문명
- The Effect of Depression,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오영경(Yeong-Kyong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6권 제2호, 623~6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 영양상태 및 인지기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변수들간의 관계와 효과를 규명하는 위해 이루어졌다.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시행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 9089명을 대상으로 경로모형을 만들고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우울, 영양상태,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우울(.46, p=.007)의 효과 크기가 유의하였으며 인지기능에 대해서도 우울(-.27, p=.014)의 효과 크기가 유의하였다. 영양상태(.08, p=.009)와
인지기능(-.03, p=.010)은 모두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는데, 우울(.50, p=.012)은 영양상태와 인지기능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에 대한 중재 뿐 아니라 영양상태와 인지기능에 대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ur study aims to assess life satisfaction and evaluate its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is a pathway analysis study using 9089 elderly people and was conducted as a supplemental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Examination Survey. As a result, depression, nutritional status,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Nutritional status(.46, p=.007), and cognitive function(-.27, p=.014) were directly affected by depression. Both nutritional status(.08, p=.009) and cognitive function(-.03, p=.010) ha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life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in affecting to life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for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udy on Application of Skin Care Cosmetic and Stabilization of Idebenone by Forming Niosome Vesicle Technology
- TiO2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 특성 평가
- 한국산 천연 광물 부석 파우더 코팅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반탄화 기술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고형연료화 가능성 연구
- 오르막 퍼팅 동작 시 볼의 위치가 퍼터와 볼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 가교도가 제어된 콜로이드 마이크로겔의 유변학적 물성 분석
- PC12와 BV2 세포에서 동충하초 추출물의 인지능력 개선 효과
- 간호연구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연구
- Poloxamer를 이용한 Swollen Micelle의 Tocopheryl Acetate 안정화
-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 Skin layer 코팅에 사용되는 Mono Methyl Ether 기반 수성 폴리우레탄의 제조 및 물리적 성질
- 전극 간격에 따른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한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 누리다 볼 운동기구의 운동 강도와 운동 효율성 검증연구
-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항산화 활성의 반응에 대한 비교 분석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6, No. 2 CONTENTS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addie Education Program for Golf Club in China
- 대장균 β-galactosidase를 이용한 benzyl alcohol galactoside의 합성 연구
- 양발 착지 시 성별에 따른 상해 경험이 하지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 나노실리카를 함유한 불소실란으로 코팅된 유리 표면의 발수 특성
- 유도체육관 운영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와 서비스 요인 분석
- PEG-free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Nanoemulsion의 안정화
- 감마선을 이용한 육종 차조기의 항염증 효과
- 16주간의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치매관련인자, 우울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건강체력(PAPS-D)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울금(Curcuma longa L.)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우울, 영양상태 및 인지기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울금(Curcuma longa L.) 섭취가 당뇨성 흰쥐의 크레아티닌 및 간 기능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알부틴과 유용성감초 추출물 혼합물에 의한 미백활성 연구
- β-카볼린 화합물의 합성 및 구조분석
- 골프참여자의 건강신념과 환경관심도 및 운동지속의 관계
- 아닐린 수용액에서 암모늄형 양이온성계면활성제 (DTAB, TTAB, 및 CTAB)의 미셀화에 미치는 염, n-부탄올 및 온도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