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7
- 영문명
- The Effect of Scarcity and Aesthetics on Product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현경(Kim, Hyun Kyung) 김형준(Kim, Hyung Ju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7권 제2호, 131~1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가치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제품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희소성과 심미성(높은 상황 vs. 낮은 상황) 및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을 조작화하여 검증하였다. 본 검증에 앞서 조작검증을 통해 총 8개의 조작물이 본 실험검증에 사용되었다. 희소성과 심미성이 높은 상황에 따른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를 검증한 결과, 희소성과 심미성이 각각 높은 상황과 두 요인이 모두 높은 상황에 노출된 소비자들은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 유형에 따라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희소성과 심미성이 높은 상황에 노출된 소비자들은 상징적 가치, 감정적 가치, 구매의도에서 더 긍정적인 평가와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기능적 가치의 경우 두 제품유형 모두 희소성과 심미성이 각각 높은 상황에 노출된 경우에 더 긍정적인 평가는 보였지만 상호작용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반면에 희소성과 심미성이 모두 높은 상황에 노출된 경우 소비자들은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 의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들은 희소성과 심미성이 높은 상황에 노출될 때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평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평가를 보인다는 것은 제품이 희소하고 기존 제품과 다른 차별화된 심미성을 가진 상황일수록, 제품의 희소가치와 미적가치를 높게 평가하게 만듦으로써 제품에 대한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scarcity and aesthetics on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 types. The study divided situations into a situation with high(low) scarcity and high(low) aesthetics and divided the product types into a utilitarian good and a hedonic good. Prior to the main verification, the product types and the scarcity/aesthetic situations were manipulated through manipulation check, and eight manipulated products in total were used in the main experimental verification. First, as a result of a verification of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high aesthetics, it turned out that in a situation with high scarcity/aesthetics,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more positive. In addition, consumers exposed to the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high aesthetics, too, made higher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a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acts of scarcity and aesthetics on the evaluations of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when exposed to the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the situation with high aesthetics, consumers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more positive evaluation in symbolic value, emotional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for functional value, they made more positive evaluations of both product types, when they were exposed to a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a situation with high aesthetics, but there was no great interaction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a situation with high scarcity and high aesthetics, they show positive evaluations of the overall valuation of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implies that a situation where a product has scarcity and aesthetic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oducts can increase the values of the product by making them make high evaluations of the scarcity value and aesthetic value of the product.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가설 검증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 상품에서 문화적 정서로 인한 한국인 시어머니와 외국인 며느리의 심리적 거리
- Growth Strateg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cus on Ice Machine Manufacturers in South Korea
- 디지털 융합환경에서의 클래식 공연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왜 SRT를 이용하는가?: 수서역 이용자를 대상으로
- 문화예술교육을 이용한 CSR 참여에 따른 기업 인식 변화
- 기업의 기부활동 기간과 기부 금액이 사회적 책임활동의 진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심미적 디자인에 대한 감각포만의 발견: 감각포만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수원 문화권 내 해외 유학생의 문화 전이가 원산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 내부 브랜딩 활동이 직원의 조직 만족과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 문화 인식의 조절효과
- 직원 참여 CSR활동의 공익성 지각이 내부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인재우대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 관리직 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 파트너십 특성에 따른 관계적 행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브랜드에 대한 투자는 보답하는가?:리콜 상황 에서 브랜드 몰입의 조절 효과
- 스케일의 이질성을 반영한 준거가격 모형화
- 지속가능한 패키지 속성이 지각된 혜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상품에서 사회적 배제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른 리브랜딩 효과 차이 연구
- Chinese Tourist’s Goals, Expectation and Confirmation in Korea: Importance-Performances Analysis
- 추가금액 지불시 구매할 수 있는 사은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획득-거래효용, 할인추구성향, 브랜드 명성을 중심으로
- 상권방문 유인동기와 몰입, 태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Editorial] Management Insight Review: A New Platform for Insightful Scholarship
- Shaping Ethics at the Top: How Team Mental Models Influence Top Managerial Behavior
- A Live Shopping Experience Study of Consumer Immersion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as a Function of the Creator's Interactive Communication Style : TikTok Live Shopping Consumers in the China and the U.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