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른 리브랜딩 효과 차이 연구
이용수 197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Rebranding According to Mindset and Regulatory Focu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주경희(Chu, Kyounghee) 이은영(Lee,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7권 제2호, 9~1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 브랜드명을 불일치한(중간 불일치, 완전 불일치) 새로운 브랜드명으로 바꾸는 경우, 즉 불일치한 리브랜딩의 효과가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리브랜딩 사례가 최근에는 다양한 업종에서 다양한 이유로 증가하면서, 리브랜딩에 관한 학계의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브랜딩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성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라 리브랜딩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상적 마인드 셋을 지닌 소비자와 향상 초점의 소비자는 중간 불일치와 완전 불일치한 브랜드명에 대한 브랜드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구체적 마인드 셋을 가진 소비자와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중간불일치한 브랜드명에 대한 브랜드 태도가 완전 불일치한 브랜드명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는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의미 있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브랜드 마케터가 리브랜딩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자 할 때, 브랜드의 핵심 목표 고객들의 성향과 특성을 잘 파악하여, 브랜드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branding according to mind-set and regulatory focus. Rebranding strategy is an essential one of corporate brand management. Far too little attention has been still paid to rebranding although the number of rebranding cases increases for various reasons in various industries in recent years.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fill this gap by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 disposition of consumers which affect rebranding effec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branding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consumer s mind-set and regulatory focu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consumers with abstract mind-set and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ere is no difference in brand attitude between the modera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and the comple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whereas consumers with concrete mind-set and prevention-focused consumers prefer the modera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to the completely incongruent re-branded bran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and develop rebranding strategy by identifying the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re target customers of the brand.
목차
I. 서 론
II. 문헌 고찰 및 가설 도출
III. 실험 1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 상품에서 문화적 정서로 인한 한국인 시어머니와 외국인 며느리의 심리적 거리
- Growth Strateg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cus on Ice Machine Manufacturers in South Korea
- 디지털 융합환경에서의 클래식 공연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왜 SRT를 이용하는가?: 수서역 이용자를 대상으로
- 문화예술교육을 이용한 CSR 참여에 따른 기업 인식 변화
- 기업의 기부활동 기간과 기부 금액이 사회적 책임활동의 진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심미적 디자인에 대한 감각포만의 발견: 감각포만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자화상 표현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수원 문화권 내 해외 유학생의 문화 전이가 원산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 내부 브랜딩 활동이 직원의 조직 만족과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 문화 인식의 조절효과
- 직원 참여 CSR활동의 공익성 지각이 내부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인재우대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 관리직 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 파트너십 특성에 따른 관계적 행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위기 상황에서 브랜드에 대한 투자는 보답하는가?:리콜 상황 에서 브랜드 몰입의 조절 효과
- 스케일의 이질성을 반영한 준거가격 모형화
- 지속가능한 패키지 속성이 지각된 혜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상품에서 사회적 배제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마인드 셋과 조절초점에 따른 리브랜딩 효과 차이 연구
- Chinese Tourist’s Goals, Expectation and Confirmation in Korea: Importance-Performances Analysis
- 추가금액 지불시 구매할 수 있는 사은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획득-거래효용, 할인추구성향, 브랜드 명성을 중심으로
- 상권방문 유인동기와 몰입, 태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희소성과 심미성이 제품가치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Editorial] Management Insight Review: A New Platform for Insightful Scholarship
- Shaping Ethics at the Top: How Team Mental Models Influence Top Managerial Behavior
- The Impact of AI Adop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Indonesian Small Busines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