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과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경윤(Lee, Kyung Yoon)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26, No.1, 95~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의 유형이 어떤 학습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디지털교과서 시범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촌락의 생활과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이라는 학습 주제로 제주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과 네이버 카페에서 한 달 동안 교류를 하였다. 학습 효과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나누어 실험 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웹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Henri(1992)의 분류를 기반으로,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메시지의 빈도는 1, 2차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1, 2차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시지의 빈도는 수업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five types of interaction on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class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s G and D, which are Seoul s designated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ypes of interaction are composed of five -participative, interactive, social, cognitive, and metacognitive massage.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not only survey items which investigate achievement test sores, learn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ut also posting opinions on the web are gathe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1)cognitive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test scores, whereas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 t show it. (2)cognitive,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 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 satisfaction. (3)cognitive, social, interactive interaction didn 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er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