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호수아 1-5장에 나타난 땅의 개념 연구
이용수 1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 of the Land in Joshua 1-5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장석정(Chang Sok-Chu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神學思想 2007년 여름호(제137집), 7~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여호수아 1-5장에 나타난 땅의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여호수아 3-4장과 출애굽기 14장의 본문들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이스라엘은 홍해에서도 그랬듯이 이곳 요단강에서도 역시 물속의 마른 땅을 발로 밟고 강을 건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이것은 출애굽기 전승이 다시 한 번 새로운 배경 속에서 신앙고백적으로 현실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마른 땅의 개념이야말로 이스라엘이 앞으로 차지할 약속의 땅을 예시하고 있으며, 그저 땅의 개념이 아니라, 이 요단강 사건은 마른 땅을 통하여 구원을 보여주심으로써, 이스라엘이 이제 정복하고 그 안에서 살아가게 될 땅을 미리 체험시켜 주시는 것이다. 따라서 여호수아 1-5장의 개념성은 하나님이 주시는 “약속의 땅” 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ceptuality of the land in Joshua 1-5. Conceptuality means the conceptual image that controls all the concepts shown in the whole texts. It is the overarching concept which lies underneath the surface level of the text. Especially the event of Jordan river in Joshua 3-4 can find its close similarity in Exodus 14 where the event of crossing the Red Sea is described. The analysis of Joshua 3-4 clearly shows that Israel walked on the dry land and crossed the river. The concept of the dry land indicates that Israel will conquer the promised land and live in it. The land they are going to take and to live is foreshadowed in the concept of the dry land. Including Jordan river, all the land that Israel was stepping upon would be Israel"s according to the words of YHWH.
Many scholars focus on the presence of the Ark in Joshua 3-4. However, in my opinion there is more important conceptuality than the Ark. It is the dry land and the land that Israel will live in. Through the event of Jordan river, the Dtr tries to show us that the aspect of the miracle event is not his primary concern, but the dry land is the conceptuality which is contrasted to the concept of the water. The tradition of Exodus is reactualized here in Joshua by making Israel experience the crossing event again. This conceptuality is what the readers should focus on in Joshua 1-5.
Many scholars focus on the presence of the Ark in Joshua 3-4. However, in my opinion there is more important conceptuality than the Ark. It is the dry land and the land that Israel will live in. Through the event of Jordan river, the Dtr tries to show us that the aspect of the miracle event is not his primary concern, but the dry land is the conceptuality which is contrasted to the concept of the water. The tradition of Exodus is reactualized here in Joshua by making Israel experience the crossing event again. This conceptuality is what the readers should focus on in Joshua 1-5.
목차
초록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덕 당위와 생명 당위 - 성명(性命)에서 생명(生命)으로
- 시편 9-10편에 나타난 민중의 저항 언어
- 여호수아 1-5장에 나타난 땅의 개념 연구
- 이번 호에는
- 슐라이어마허 기독교윤리학의 철학적ㆍ신학적 입지와 그 특징
- 자기대면을 통한 자기성찰교육
- 하나님의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인간교육 - Comenius의 Pampaedia를 중심으로
-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의 주역 길선주 목사의 삶과 설교
- 인류는 과연 공존의 길을 택할 수 있을까?, 『환경과 개발: 사회윤리적 접근』에 대한 서평
- 몰트만의 놀이의 신학
- 원시그리스도교 Q공동체와 예루살렘 성전공동체의 관계
- 예수와 쿰란 공동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Returning to the God-Talk after Atheism: Levinas and Bonhoeffer
- A Study on Kim Chai Choon’s Understanding of Religion
-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43 Cont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