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 당위와 생명 당위 - 성명(性命)에서 생명(生命)으로
이용수 68
- 영문명
- Moral obligation and Life obligation - from commandment of human nature to commandment of natural life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양명수(Yang Myung-Su)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神學思想 2007년 여름호(제137집), 161~20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01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문주의자들은 인간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도덕 명령 앞에 서게 되었다. 도덕 당위란 자연스런 생명의 충동을 억누름으로써 자기를 통제하고, 그처럼 자기 수양을 통해 세상의 주인이 되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도덕 당위에 눌려 있는 개인의 생명 당위를 재발견함으로써 우리는 자연친화적이고 소유에서 존재로 돌아가는 길을 찾고자 한다. 도덕 당위인 성명(性命)으로부터 살아야 하는 당위인 생명(生命)으로 내려가는 일은 인문주의적 문명의 소유의 세계에서 존재 자체로 돌아감으로써 개인의 싱싱한 생명력을 회복할 뿐 아니라, 성명이 요구하는 타자와의 관계도 개선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소비 위주의 삶에서 탈피해서 자본주의 문명의 파괴성으로부터 해방되는 길을 찾게 될 것이다.
성리학은 성명을 중시여기면서 살고 살리는 의지(生意)를 도덕 당위의 처음과 끝에 둠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인문주의로 주목을 받을 만하다. 인간의 악을 심각하게 의식해서 형이상학을 만들어 초월적 원리로 희망을 찾으려고 한 성리학은 그 원리가 자연에 내재한 것으로 봄으로써, 생명 당위의 차원에서 도덕 당위를 완성하는 구도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성리학은 성명을 중시여기면서 살고 살리는 의지(生意)를 도덕 당위의 처음과 끝에 둠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인문주의로 주목을 받을 만하다. 인간의 악을 심각하게 의식해서 형이상학을 만들어 초월적 원리로 희망을 찾으려고 한 성리학은 그 원리가 자연에 내재한 것으로 봄으로써, 생명 당위의 차원에서 도덕 당위를 완성하는 구도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Humanism, both in the Eastern and in the Western history of thought, was to build the subjectivity of human being in terms of leading life and not being led. Such project led to struggling with one"s natural instinct, in other words, winning against oneself. Transcendent God was turned into transcendental moral law inside the human mind and the self-transcendence has become the real task to accomplish. That"s what the great philosophers like Mencius and Kant show by emphasizing the moral decision all over the corporal tendency. Mencius stressed that human moral nature(性) is not born by nature(生).
But there is another basic commandment, which we call the commandment of life. Living one has to live. Putting the unconscious life obligation to the conscious level, we mean to go down to the dimension of being in contrast to the well-being, not only the ordinary sense but also humanistic one. Neo-confucianism is very meaningful for our project. Will to live is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morality there. Such a vision might reduce the properties and the consumptive products on the whole. But we think the ecological crisis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based on the western capitalism left no choice but to break up with the western imagination of freedom according to the possession.
But there is another basic commandment, which we call the commandment of life. Living one has to live. Putting the unconscious life obligation to the conscious level, we mean to go down to the dimension of being in contrast to the well-being, not only the ordinary sense but also humanistic one. Neo-confucianism is very meaningful for our project. Will to live is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morality there. Such a vision might reduce the properties and the consumptive products on the whole. But we think the ecological crisis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based on the western capitalism left no choice but to break up with the western imagination of freedom according to the possession.
목차
초록
들어가는 말
1. 인문주의에서 말하는 도덕 당위
2. 생명 당위: 성명(性命)에서 생명(生命)으로
글을 맺으며
참고 문헌
Abstract
들어가는 말
1. 인문주의에서 말하는 도덕 당위
2. 생명 당위: 성명(性命)에서 생명(生命)으로
글을 맺으며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덕 당위와 생명 당위 - 성명(性命)에서 생명(生命)으로
- 시편 9-10편에 나타난 민중의 저항 언어
- 여호수아 1-5장에 나타난 땅의 개념 연구
- 이번 호에는
- 슐라이어마허 기독교윤리학의 철학적ㆍ신학적 입지와 그 특징
- 자기대면을 통한 자기성찰교육
- 하나님의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인간교육 - Comenius의 Pampaedia를 중심으로
-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의 주역 길선주 목사의 삶과 설교
- 인류는 과연 공존의 길을 택할 수 있을까?, 『환경과 개발: 사회윤리적 접근』에 대한 서평
- 몰트만의 놀이의 신학
- 원시그리스도교 Q공동체와 예루살렘 성전공동체의 관계
- 예수와 쿰란 공동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Returning to the God-Talk after Atheism: Levinas and Bonhoeffer
- A Study on Kim Chai Choon’s Understanding of Religion
-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43 Cont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