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회(Park, Ji Hoe) 고장완(Ko, Jang Wa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259~2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경험하는 교수와의 상호작용, 학문적 영역에서의 참여가 대학교육성과와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종단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생-교수 상호작용을 대표 독립변수로 설정하 였고, 매개변수로 능동적 수업참여와 수업 관련 학업도전을, 종속변수로 학습성과와 대학만족을 설정하여 연구변수들 간 종단 구조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차(2011년), 8차(2012년), 9차 (2014)년도 자료를 토대로 세 시점 모두 결측 없이 응답한 4년제 대학 학생 1,028명의 패널자료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교수 상호작용, 수업참여, 학업도전, 학습성과, 대학만족은 시간경과에 따라 선형증가 하였고, 개인차가 발견되었다. 둘째, 학생-교수 상호작 용은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학생참여 요인이 함께 고려될 때에는 그 영향력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활 동안 학생들의 학문적 참여 활동은 학생-교수 상호작용과 대학교육성과 사이에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 현장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outcomes, college satisfaction, student-faculty interactions and student engagement(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cademic challenges). For this purpose, the panel data wascollected from 1028 undergraduate students who attended university in 2011, 2012 and 2014 by the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An optimal variation model was established for each latent variable change over time. Then,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utcomes at universities,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after combining each optimal variation model.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utcomes both increased linearly over time,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found. Second, student-faculty interactions had an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and overallcollege satisfaction, yet when student engagement factors were considered together, the influence tended to decrease.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whi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faculty interaction, learning outcomes, and colleg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tudy were elaborated upon in the main text, and related policy implications and a follow up study were discussedas wel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드웍 수업 참여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초·중학생 부모의 방과후 공동양육 프로그램 ‘모두학교’참여와 성장 경험
- 학교급과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학부모의 교사 신뢰 차이
- 미국 차터스쿨의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통합 운영 사례 연구
- 미국 중등 교사들을 통해 본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관점
- 사립유치원 교사의 퇴직과 복직 경험
-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 교양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 학교부적응 학생의 행동 분석과 지원 방안
- 공동육아 교육담론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학교혁신을 위한 교육행정기관 재구조화 방안 탐색
-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의 발전방안 연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학생-교수 상호작용, 학생참여, 대학교육성과의 종단 구조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