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n the Formation and Practice of Cooperative Child Care and Educational Discourse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오채선(Oh, Chaisun) 이부미(Lee, Boo-M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93~1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회보에 나타난 권두언 글을 통해 공동육아 교육 담론의 형성과 실천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공동육아 교육담론의 지향점을 교육적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공동육아 회보(56호~124호)의 권두언 글 총68편이며, 분석방법으로는 페어클 로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육아 교육담론의 형성 및 실천 시기를“지역에 기반한 공동육아 교육 대중화 시기(2001-2003)”,“공동육아 교육 성찰의 시기(2004-2007)”,“공동육아 교육 상상의 시기(2008-2010)”,“삶의 방식으로서 공동육아 교육 시기(2011-2017)”의 4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그 실천과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formation and practice period of the educational discourseof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First, the educational discourse emphasized the change from the child-care center community to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period of popularization of cooperative child care and education discourse (2001-2003).In this perio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was achieved, but the cooperative childcare education based on community was not popularized. Second, in the period of:Reflection on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for Children (2004-2007), the educational discourse focused on the identity of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and child care for low-income families and emphasized the changing of culture withinSocial Child Care. Nevertheless, during this period,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childcare problems of low-income families was not activated due to joint childcare education. Third, educational discourse was emphasized in terms of learning and practicing a new way of life in the time of imagining the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2008-2010).This period was a time of dreaming of co-education for children as a new possibility. Fourth, educational discourse emphasized the way of sharing life centered on villages in the period of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2011-2017) as a way of life. In addition, it emphasiz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who develops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grows and collaborates with the crisis of changes of overall child care policies, and insists to learn the ability to help the young children through relationships and caring.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공동육아 교육담론의 형성과 실천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드웍 수업 참여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초·중학생 부모의 방과후 공동양육 프로그램 ‘모두학교’참여와 성장 경험
- 학교급과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학부모의 교사 신뢰 차이
- 미국 차터스쿨의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통합 운영 사례 연구
- 미국 중등 교사들을 통해 본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관점
- 사립유치원 교사의 퇴직과 복직 경험
-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 교양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 학교부적응 학생의 행동 분석과 지원 방안
- 공동육아 교육담론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학교혁신을 위한 교육행정기관 재구조화 방안 탐색
- 전북형 혁신미래학교의 발전방안 연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학생-교수 상호작용, 학생참여, 대학교육성과의 종단 구조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