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asurement of Vessel Density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angiography in Normal Subjects: Difference by Analysis Are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임종찬(Jong Chan 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4, 355~36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vessel density of macula according to analysis area in health subject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0 eyes of 20 healthy people who underwent OCTA. We measured vessel density (VD) according to analysis area and foveal avascular zone (FAZ) size of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and deep capillary plexus(DCP). The analysis areas were classified as 3 × 3 mm scan area (Box), Box area excluding FAZ (Box-FAZ), fovea centered 3 mm circle area (Circle), Circle area excluding FAZ (Circle-FAZ) and area between fovea centered 1 mm circle and 3 mm circle(Ring).
Results: The SCP VDs were Box 34.00 ± 3.97, Box-FAZ 35.37 ± 4.09, Circle 31.70 ± 4.56, Circle-FAZ 33.34 ± 4.72, and Ring 35.22 ± 5.09. The DCP VDs were Box 30.04 ± 3.51, Circle 29.49 ± 3.57, Box-FAZ 31.59 ± 3.65, Circle-FAZ 31.46 ± 3.72, and Ring 32.60 ± 4.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nalysis area from both SCP and DCP (p < 0.001 and p < 0.001, respectively). Comparison of the vessel density between SCP and DCP in the same analysis area were different in all areas(p < 0.001, p = 0.001, p < 0.001, p = 0.005,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analysis area when measuring VD using OCTA. Therefore, when comparing studies related to V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nalysis area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4):355-361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년 위눈꺼풀성형술 직후 아래눈꺼풀 위치 확인의 중요성
- 안와골절정복술 시 사용된 고농도 에탄올에 의한 각막화상 1예
- 색소건피증환자의 각막 이형성과 POLH 유전자 변이 확인의 1예
-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 애플리버셉트주입술 후 안압상승에 대한 분석
- 성인의 눈물샘에서 발생한 안와 림프관 기형 1예
- 직접 또는 간접적인 봉독에 의한 안구 독성 2예에 대한 비교 및 고찰
- 한국인에서 의안착용 후 선호하는 의안의 방향과 눈꺼풀의 높이
- 외상섬모체해리에서 시행한 부분 공막편을 이용한 경공막 섬모체유착술 1예
- 정상인에서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을 이용한 혈관 밀도 측정: 분석 영역에 따른 차이
-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 이후 발생한 인공수정체 동공끼임환자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의 치료 2예
- 시신경유두오목 황반병증에 대한 유리체절제술의 장기 결과
- 안내이물의 입구 위치에 따른 임상양상
- 스테로이드 감량 치료 중 재발을 보인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증후군의 임상양상
- 고도근시환자에서 표층황반원공에 대한 유리체절제술의 효과
- 망막대동맥류에 합병된 황반출혈환자에서 베바시주맙 단독 치료의 임상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