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ortance of Lower Eyelid Position in Aging Blepharoplas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주현(Joohyun Kim) 양성원(Sungwon Yang) 박진환(Jinhwan Park) 이화(Hwa Lee) 백세현(Sehyun Bae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4, 303~30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노인성 피부이완증으로 위눈꺼풀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 전과 수술 직후의 위, 아래눈꺼풀 위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6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노인성 눈꺼풀 피부이완증으로 위눈꺼풀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직후 위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marginal reflex distance 1, MRD1)와 아래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marginal reflex distance 2, MRD2) 및 눈꺼풀틈새거리(palpebral fissure height, PFH)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84명의 환자(남자 72명, 여자 112명)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수술 전 평균 MRD1은 1.97 ± 1.27 mm, 수술 전 평균 MRD2는 4.74 ± 0.97 mm, 수술 전 PFH는 6.70 ± 1.69 mm였고, 수술 직후 MRD1은 1.79 ± 0.79 mm, 수술 직후 MRD2는 4.16 ± 0.92 mm, 수술 직후 PFH는 5.95 ± 1.36 mm였다. 수술 전과 직후의 MRD1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p=0.256), MRD2와 PFH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직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모두, p<0.001).
결론: 노인에서 위눈꺼풀성형술을 시행할 때 수술 직후 MRD2와 PFH가 감소하기 때문에 수술 중 적절한 수술량의 평가를 할 때 PFH가 아닌 MRD1을 기준으로 해야 수술 후 과교정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9;60(4):303-307>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upper and lower eyelid positions after upper blepharoplasty in elderly patients.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dermatochalasis and treated with upper blepharoplas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Clinical photographs taken preoperatively and immediately after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arginal reflex distance (MRD) 1, MRD2 and palpebral fissure height (PFH) were measured from the photographs using Image J software.
Results: A total of 184 patients (72 males and 112 femal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reoperative mean MRD1, MRD2, and PFH were 1.97 ± 1.27 mm, 4.74 ± 0.97 mm, and 6.70 ± 1.69 mm,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mean MRD1, MRD2, and PFH were 1.79 ± 0.79 mm, 4.16 ± 0.92 mm, and 5.95 ± 1.36 mm, respective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RD1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256), but the postoperative MRD2 and PFH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s(both, p < 0.001).
Conclusions: When performing upper blepharoplasty in elderly patients, the surgeon should consider that the MRD2 and PFH could be decreased during surgery. When the surgeon estimates the correct amount of skin-muscle excision, the MRD1, but not PFH, should be consider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4):303-307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년 위눈꺼풀성형술 직후 아래눈꺼풀 위치 확인의 중요성
- 안와골절정복술 시 사용된 고농도 에탄올에 의한 각막화상 1예
- 색소건피증환자의 각막 이형성과 POLH 유전자 변이 확인의 1예
-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 애플리버셉트주입술 후 안압상승에 대한 분석
- 성인의 눈물샘에서 발생한 안와 림프관 기형 1예
- 직접 또는 간접적인 봉독에 의한 안구 독성 2예에 대한 비교 및 고찰
- 한국인에서 의안착용 후 선호하는 의안의 방향과 눈꺼풀의 높이
- 외상섬모체해리에서 시행한 부분 공막편을 이용한 경공막 섬모체유착술 1예
- 정상인에서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을 이용한 혈관 밀도 측정: 분석 영역에 따른 차이
-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 이후 발생한 인공수정체 동공끼임환자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의 치료 2예
- 시신경유두오목 황반병증에 대한 유리체절제술의 장기 결과
- 안내이물의 입구 위치에 따른 임상양상
- 스테로이드 감량 치료 중 재발을 보인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증후군의 임상양상
- 고도근시환자에서 표층황반원공에 대한 유리체절제술의 효과
- 망막대동맥류에 합병된 황반출혈환자에서 베바시주맙 단독 치료의 임상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