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럽 의회 권한 강화의 유럽통합사적 고찰

이용수  42

영문명
Political History of the Reinforcement of the Powers of the European Parliament : Contribution of the Rapport of Han Furler (1963)
발행기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저자명
심성은(Sung-Eun Shim)
간행물 정보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제39집,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유럽의회는 각료이사회와 입법권을 공유한다. 하지만 1957년, 유럽경제공동체와 유럽원자력에너지공동체 창설 당시만 해도 불신임제출권과 자문권만 행사할 수 있었다. 1958년부터 유럽의회는 자문권의 개선 및 강화, 그리고 실질적인 입법권 도입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유럽의회의 권한강화 주장은 유럽공동체뿐 아니라, 학계에도 조명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유럽의회 의장을 역임한 유럽연합주의자 한스 풀라가 맡았던 1963년도 보고서는 유럽의회 최초의 권한강화와 관련된 본격적인 공식 의견이라 할 수 있다. 풀라 보고서의 주장은 당시 유럽의회의 제한적인 권한에 비하면 상당히 진보적인 것이었다. 그 내용은 자문권 개선 및 강화부터 각료이사회의 유럽의회 의견 채택 거부 시 2차 자문절차 도입, 제3국과의 협력협정 체결 시 실질적인 유럽의회의 동의권 신설, 그리고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으로 도입된 공동결정권까지, 심도 있는 권한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풀라보고서를 기점으로 집행위원회는 유럽의회 권한강화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일부분 동의를 표하게 되었는데 이는 ‘더 강한 유럽의회’에 대한 집행위원회의 전반적인 동의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유럽의회 내에서는 추후 유럽의회 의원들의 권한강화 주장에 대한 초석 역할을 하며, 1986년 유럽단일의정서와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이 유럽의회의 입법권을 대폭 강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문 초록

The European Parliament (EP) shares a legislative power with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EU). But, when it was founded in 1957 by the European Economic Treaty and the European Atomic Energy Treaty, it obtained only a consultation power and a motion of censure. Since then, the EP asserted the amelior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consultation power, and the introduction of the legislative power. But, the claims of the EP were ignored for a long time by the EU institutions, and its importance was overlooked by the scholars. The rapport established by Hans Furler, European federalist and the former president of the EP, was the first official opinion of the Parliament which synthesized the assertions of the reinforcement of its powers : from the amelioration of the consultation power, the introduction of the second consultation procedure when the Council rejects the opinion of the EP, the creation of the assent power regarding of the association agreement between the EU and the third country, to the attribution of the codecision power to the EP. The European Commission agreed on the opinion of the EP, which formed a general position of the Commission toward the Parliament. In the EP, Furler’s rappor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basis of the argument of the EP for ‘the stronger Parlia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스 풀라의 보고서 도입 배경
Ⅲ. 풀라 보고서의 주요 내용
Ⅳ. 한스 풀라 보고서의 유럽통합사적 영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성은(Sung-Eun Shim). (2016).유럽 의회 권한 강화의 유럽통합사적 고찰.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39 , 1-33

MLA

심성은(Sung-Eun Shim). "유럽 의회 권한 강화의 유럽통합사적 고찰."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39.(2016):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