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예루살렘에 대한 유대교·무슬림·기독교 공동체간 갈등 및 경쟁 구조 분석 -이스라엘 점령체제를 중심-
이용수 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안승훈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29권 1호, 135~1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onflict of the ownership and authority over East Jerusalem has been historically contested for about two thousands years. Many major empires tried to conquest the city of Jerusalem for several reasons: historical,
religious, ethnic, and national. The Ottoman Empire proclaimed the so-called principle of the Status Quo in 1757 in order to resolve religious conflict over the management of the Church of the Holy Sepulchre among
Christian sectors, and since then, the Status Quo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ic and legal principle for co-existence of three religion,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in spite of power changes among great powers and
states. Especially, the three religious communities of the Jewish, Christian, and Muslim communities strove to keep the power-balance within East Jerusalem, recognizing the others’ religious authority and tradition. But the
historical tradition of the co-existence was challenged and threatened by the Israeli occupation of East Jerusalem after the Six-Day War of 1967. In particular, after the Israeli wing-wing party, Likud party, began to take power in Israeli politics, and strongly implement the policy of the Jewishness of East Jerusalem, the political competition for superiority over East Jerusalem among the three communities became strengthened, and the
conflict structure among them remained complicated. Therefore, based on this historical narrativ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tructure and dynamic of the political conflict and competition over East Jerusalem among three
religious communitie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find out the responses of the other two communities, the Muslim and the Christin communities against Israel’s control policy over East Jerusalem. In the conclusion, this
will also seek the possibility and prosperity of the co-existence among three communities in East Jerusalem,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 and meaning of the political and religious roles of the communities for resolving the conflict surrounding East Jerusalem.
목차
Ⅰ. 서론
Ⅱ. 동예루살렘 현상 유지(Status Quo) 규범의 형성
Ⅲ. 1967년 6일 전쟁과 이스라엘의 동예루살렘 정책
Ⅳ. 무슬림 공동체 및 팔레스타인 진영의 대응
Ⅴ. 기독교 공동체의 대응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정러시아말기 카자흐지식인공동체의 대외 및 대내 변화요인과 변화과정
- Sharī‘ah 해석의 현대이론
- 동예루살렘에 대한 유대교·무슬림·기독교 공동체간 갈등 및 경쟁 구조 분석 -이스라엘 점령체제를 중심-
- The Prospects of Political Islam and State Policy in Central Asia: Ideologies, Movements and Transformations
- ISIS이후 아랍세계의 변화와 이슬람포비아 (Islamophobia) 현상에 대한 고찰
- 한국 주요 수출품목의 GCC 시장 내 수출경쟁력 분석
- Concepts of Conquest and Occupation: Different views of the Muslim rule in Iberian Peninsula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