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tivation and Language Learning Re-visited From Motivation to Mindset (Dweck) and Grit
이용수 4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브로제 이리스(BROSE Iris)
- 간행물 정보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7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193~20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세 지중해의 문명 교류와 이슬람
- 국문학연구자료관소장 s『蜻蛉日記』의 주석비교연구
- 인공지능시대 전문번역 교육의 방향
-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반영한 {만큼}과 {처럼} 재고찰 연구
- 일본어 전문(傳聞)표지의 모달리티 연구 -일본어 통번역 수업과의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학부생 한국어 수업에서 복합양식적 교육의 수용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주인공 변론하기’ 수업 사례-
- 4차 혁명(인공지능)시대 한자교육의 미래와 전망
- 플립러닝 실시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연구
- 학교급별 학습 한국어 교육 내용 연구
- 독일의 사회통합강좌
-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의 영어교재 연구
- 2017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워크숍
- 교양외국어로서의 인도네시아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Writing Typ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Self-Assessed use of Writing Strategies
- Improving a Young EFL Learner’s L2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Extensive Reading
- 제4의 물결, 스마트 사회 패러다임과 대한민국 국가 미래전략
- 한-아 번역에 나타나는 한국어 간섭현상 사례 연구
- 한국인 러시아어 학습자의 발음 및 인지 오류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매체 문식성에 대한 조사 연구
- Google Translate 시대의 외국어 교육
- 외국어로서 한국어 말하기 연습을 위한 상황인지 기반의 챗봇 설계에 관한 연구
- 외국어 수업과 모국어 활용 -독일어 초급단계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메타언어로서 모국어 활용방안-
- 인공지능 시대의 외국어교과의 ‘성격’과 ‘목표’
-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의 학습자 문화적 감수성과 소통 능력 개발 교과 연구
- 독일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제2외국어 심화 과목을 중심으로-
- Motivation and Language Learning Re-visited From Motivation to Mindset (Dweck) and Grit
- Investigating Second Language Accents and Pronunciation Development
-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논증 교육 방안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 쓰기 교육의 교수-학습 내용과 급별 연계성에 대한 고찰 –텍스트 단위별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martphone dialogue journals o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 번역에 있어서 문화적 요소
- 형태초점 접근법의 교실 적용 방안 연구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Maschine kann Eigennamen und Zahlen besser übersetzen als Mensch? – Übersetzung von „Named Entities“ durch GNMT
- 프로젝트학습모형에 따른 중등교육 아랍어 교수·학습 방법 -언어·문화 융합수업을 중심으로-
- Correlation Between Generative Grammar and School Grammar: with a Focus on an Alternative Model of Teaching Korean Grammar
- 스페인어 쓰기 교육과 확장형 읽기
- 중국어 관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연구 -대학중국어 중급회화교재에 등장한 표현을 중심으로-
- 학부 프랑스어 독해 수업에서 학습자의 메타 인지 전략 고찰
- 영어-진로교과 통합수업이 영어 학습 동기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외국인 유학생 학습자 요구 조사 연구 -한국어 수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 시대 스페인어 학습자의 학습 환경과 학습패턴 변화
- M-원리에 의한 한국어의 대화 함축 기제에 대하여
- 현대그리스어의 과거형 학습자 오류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한국어 번역 과정 연구
- 어학강좌에서의 중국문화교육에 관하여
- 중국어교재 기사문(祈使文)의 사용현황분석
- 인공지능 시대의 프랑스어 교육 -디지털 교육 장치를 통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 Frayer Model 활용기반 녹음 융합 과제 중심의 관용표현 교수・학습 사례 연구 -초급 수준 학습자 대상 수업 절차와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용 지식의 양상 연구
- Suggesting contact points between future technologie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cused on algorithm
- 한국어-인도네시아어 번역에 관한 연구 -한국어 어미·조사·표현 번역을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에 대한 학습자 대상 중요도-만족도 분석 -인천소재 Y기관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인지적·정의적 진단 및 피드백 제시 방안
- 한국어 음운 규칙의 제시 순서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 구어체아랍어 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f Malay Language as Foreign Languages: Communication Strategies among the Korean Students in HUFS
- 한국인 학습자들의 프랑스어 텍스트 읽기양상 -내용의 일관성을 방해하는 접속사 삽입을 통하여-
- 副词“就”的用法分类及对外汉语教学研究
- 통계 자료를 활용한 수능 중국어 문항 난이도 예측
-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토론 수업의 효과 연구
- 빅데이타 활용을 위한 영어교육 도구
- 불가리아어 교육과 텍스트 마이닝
- 제4차 산업시대 캄보디아어교육의 필요성
- 번역과 문화능력
- 現代漢語虛詞“但”“而”“卻”的異同比較及教學建議
- KFL과 KSL의 개념화 방안 -EFL과 ESL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자동번역 시대의 번역교육
- 의사소통·행위지향적 독일어수업에서의 ‘상호관계적 학습활동과 관련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연구
- 딕토글로스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한중 시사 번역의 은유 번역 연구
- 以语块教学法为指导的初级综合汉语综合课课程设计 (낱말가족(말무리) 교학법으로 지도하는 초급 종합 중국어 종합수업 교과과정 설계)
- 미디어의 중국어교육 활용 방안 연구 -관용표현의 상용도 분석을 위한 드라마 대사의 활용을 중심으로-
- Thinking Routines and the Development of Speaking Test-Taking Skills
- 미국 대학 1학년 학생들의 아랍어 학습결과물 평가에 관한 통합적 접근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 Suggestions for Teaching Practicum: An Emic Perspective
- 동남아 3개국 거주 화교 고등학생의 언어 태도 분석
- 언어교환을 통한 중국어 작문과제의 수행과 평가
- 戯作を題材とした初級教育に関する一考察 ー黄表紙の趣向を中心にー
- 翻訳における「取組」「取組み」「取り組み」に対する一考察
- 칼스루헤 강의 번역기와 독어독문학 및 독일어교육
-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글쓰기 교수 방안
-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이탈리아어의 신 표준어 연구
- 베트남어 수업에서 문화콘텐츠 활용에 대한 수요 조사와 활용 사례 연구 -충남외국어고등학교 베트남어 수업을 중심으로-
- 스와힐리어 명사구의 유형적 특징, 다른 아프리카 제어들과의 비교
- A Study on Korean English Instructors Perceptions of MOOC
-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Korean University Student s Narrative English Writing
- 인공지능과 외국어 교육
- 고등학교에서의 영어 교육과정 적용
- Are the Current Integrated Tasks Relevant to the Target Domain as They Appear to Be?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프랑스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 연구
- 미디어를 활용한 효과적인 중국어 교육에 관한 제언 -콘텐츠 설계를 중심으로-
- 일본어 수업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제안
- 한국의 대학 교육에서 라틴어 교육의 위상
- The status of Latin in university education of Korea
- ICT시대의 일본어교육과 정보 리터라시(Information Literacy) 수업의 필요성
- 한국어 교재 말하기・듣기 자료의 의문문 실현 양상 연구
- 법과 제도의 측면에서 본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발전 방안
- 한정성(Definiteness)과 지시성(Referentiality) 개념을 활용한 스페인어 문법교육
- 주제별 자유대화 기반 외국어 교육용 대화시스템
- Zwischen Künstlicher Intelligenz und Digitaler Demenz. Zum Stand und Einsatz von digitalen Medien im DaF-Unterricht. (인공지능과 디지털 치매. 외국인을 위한 독일어교육에서 디지털 매체의 사용과 입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