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졸라의 ≷꿈 Le Rêve≸에 나타난 삶과 죽음, 현실과 꿈
이용수 167
- 영문명
- La vie et la mort, la réalité et le rêve, analyse du Rêve de Zola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손경애(Kyung-Ae SON)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87권, 5~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utte de l âme, l au-delà, le rêve, l inconnu, l inconnaissable, Zola avait voulu l exprimer dans Le Rêve. Pourtant, Le Rêve est également un roman naturaliste. Les dossiers préparatoires nous le prouvent et évidemment son intention en tant qu’écrivain naturaliste est apparemment de mener un roman expérimental en dépeignant comment Angélique, change au contact de son nouveau milieu religieux, sous l’influence de ses parents adoptifs, les Hubert.
En effet, Le Rêve a des élans spirituels, surprenants et même mystiques. En plus, comme Zola l’avait projeté, il peut être dans toutes les mains. Zola violemment critiqué pour avoir aimé dépeindre des obscénités, était perçu comme ne sachant pas décrire ce qui touche à l âme, ne sachant s’attarder que la réalité matérielle. Zola tenait donc à écrire un roman qui puisse prouver que cette critique est infondée.
Et il a apparemment atteint son objectif en écrivant Le Rêve. Zola démolit la barrière entre la réalité et le rêve, celle d entre la mort et la vie et finalement entre le malheur et le bonheur. Ceci est devenu possible d abord par la focalisation interne. Par ce moyen, l auteur nous montre le rêve, la vision d Angélique. Ensuite, l écrivain nous présente une nouvelle interprétation sur la mort : la disparition d Angélique est conçue comme la concrétisation de son rêve, le sommet du bonheur.
목차
1. 서론
2. 위베르띤의 교육 ; 환경과 유전의 대립 구도
3. 앙젤리끄의 꿈, 사랑과 욕망
4. 앙젤리끄의 죽음 : 현실과 꿈의 경계점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네갈 68년 5월 항쟁의 전개와 의의 - 프랑스 68혁명의 영향설을 중심으로
- donc의 발화적 분석 - 다성성과 대화주의 관점에서
- 메를로-퐁티의 철학의 형성과 「지각의 본성에 관한 연구계획」
- 시대의 비참을 마주한 시인의 역할- 아그리파 도비녜의 ≷비극≸을 중심으로
- 졸라의 ≷꿈 Le Rêve≸에 나타난 삶과 죽음, 현실과 꿈
- 마르셀 뒤샹의 <큰 유리>와 기계에 대한 소론_1 - 뒤샹, 자리, 파브로프스키를 중심으로 본 그로테스크한 기계 인간
- 벨 에포크 시대 프랑스의 자연주의 풍속화 연구 * - 앙리 제르벡스(1852-1929)를 중심으로
- 현대의 식자(食者): 정체성에 대한 시론
- 프랑스 산업혁명기 기술혁신과 욕망의 상호작용 분석
-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분석 * : Functional Analysis 방법론을 중심으로
- 마리 드 프랑스의 ≷우화집 Fables≸ 연구를 위한 전망 - 「프롤로그」 및 「에필로그」의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파리Paris시의 도시 문화이미지 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