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진로연구 동향분석 : 2009~2018년 국내 연구 중심으로
이용수 275
- 영문명
- Career Development Research Trends of Gifted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 저자명
- 오세화(Oh, Se-hwa) 이신동(Lee, Shin-dong)
- 간행물 정보
- 『특수·영재교육저널』제5권 제2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진로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9년도에서 2018년도까지 최근 10년간 영재학생의 진로연구와 관련된 논문 중 학위논문 43편, 국내학술등재지(KCI)를 통해 발표된 논문 43편, 총 86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유형별, 연구주제별, 검사도구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4년 이후로 영재학생의 진로연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였고,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영재학생이 주요 연구대상이었다. 연구유형으로는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연구주제별 범주로 진로변인, 성격·정서,
학업·교육, 애착·부모 관계, 기타 순으로 나타났고, 진로변인으로 진로성숙이 가장 많았다. 동일한 진로변인을 측정하는데 각기 다른 검사도구가 사용되었고 다양한 하위변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영재학생의 진로와 관련된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 진로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영재학생의 진로탐색 및 진로지도에 대한 반성과 향후 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을 반영한 영재학생의 진로 및 하위변인의 연구와 이에 관련된 정책적 지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career of gifted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es on career of gifted children in the futur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86 studies related to career of gifted students published in KCI(Korea Ctitation Index) and thesis for a degree from 2009 to 2018
by year, targets,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s, and measurement tools. According to the analysis, since 2014, the study of the career of gifted studen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nd the study of gifted students from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as the main targets. As a research type, survey was used the
most. It was presen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career variable, personality·emotion, academic·education, attachments·parents relationship, and others. ‘Career variable’ was the frequent in topic words. Different measuring tools were used to measure the same path variable, and various sub-variants of the measuring tool were u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e career of gifted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the trend of the career research for gifted students, and presented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related to the career research of gifted students, reflecting the future paradig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eflecting the course map of gifted students in Korea.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내용 및 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