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
이용수 15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for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어흥선(Eu Heung Sun) 이종숙(Lee Jong 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29호, 181~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은 사회적 거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은 다문화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편견과 다문화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거리감은 편견과 다문화효능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househol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judice against th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general household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on social distance. Second, prejudice toward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household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social distance to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household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multicultural efficac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social distance wa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적 박탈과 음주가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Overturn Intention among Long-Term Care Workers
-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
- The Characteristics of Help-Seeking Behavior among Battered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With a Phenomenological View
- 베이비붐 세대의 재능기부활동만족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몰입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치매노인과 가족수발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장애인복지 실천가의 사람중심계획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