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복지 실천가의 사람중심계획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229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Work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Person-Centered Planning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장재웅(Jang Jae Oong) 조재환(Cho Jae Hwan) 안현주(An Hyeon Ju) 김미린(Kim Mi Rin) 장순욱(Jang SoonOuk)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29호, 31~6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람중심계획에 참여한 장애인복지 실천가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자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경험을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사례 간 분석에서 투입-전환-성과라는 논리모델의 틀에 따라 질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투입 과정에서 ‘사람중심계획에 대한 초기 이행 및 반응’, 전환 과정에서 ‘활동 내용’과 ‘사람중심계획의 도전’, 성과 과정에서 ‘나의 성장과 새로움에 대한 갈망’ 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함께 8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관에 맞는 실천 방법 마련과 구조적인 체계 마련, 실천가의 역량강화를 통해 사람중심을 실천하는 조직 차원으로 변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experiences through case study method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person-centered planning. This study classified data according to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and analyzed it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the logic model called input-transition-outcome in the cross-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derived four core categories and eight subcategories: ‘initial implementation and response to person-centered planning’ in the input process, ‘activity content’ and ‘challenge of person-centered planning’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craving for my growth and newness’ in the outcome proces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a change is necessary to an organizational level that practice person-centered through the preparation an appropriate practice method for the organiz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tructural system, and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적 박탈과 음주가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Overturn Intention among Long-Term Care Workers
-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
- The Characteristics of Help-Seeking Behavior among Battered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With a Phenomenological View
- 베이비붐 세대의 재능기부활동만족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몰입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치매노인과 가족수발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장애인복지 실천가의 사람중심계획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