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이용수 868
- 영문명
- The National Differences in Animation Characters - Taking the Role of Monkey King in Different Editions of ‘Journey to the West’ Created in Korea, China and Japan as an Examples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하광녕(Xia, Guang-ning) 한혜진(Han, Hye-j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275~29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설 서유기 는 중국 4대 명작 중 하나이다.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일본에도 ‘서유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나 한국과 일본에서 제작된 ‘서유기’ 애니메이션은 인물 이미지와 줄거리에서 중국 작품과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한중일의 민족적 특징이 반영되고, 각국의 역사 흐름 속에서 문화가 반영된 결과로 그 나라의 민족성이 애니메이션의 작품에 잘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완성도를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한중일 각각의 민족성이 어떻게 작품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하겠다. 각국의 애니메이션 작품은 각국의 강한 정체성과 사회적 면모를 드러내므로 좋은 비교 소재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중일 각국에서 제작한 ‘서유기’ 애니메이션 속의 손오공 캐릭터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캐릭터에 드러난 민족적 특징의 차이와 형성 원인을 조사한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성공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 한국, 일본에서의 서유기의 생성 발전과 과정 및 전파와 변이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한중일 ‘서유기’ 애니메이션 속에서의 손오공 캐릭터와 민족성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서유기’ 애니메이션이 한·중·일 3개국에서 개편되면서 큰 변화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런 현상이 생기는 원인에는 문화 전파의 융합 정도, 종교 요소, 현대 사회 문화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자국의 문화와 현대 문화의 결합을 통한 국제 홍보하고 아동 및 성인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 개발 및 다양한 애니메이션 파생품을 통한 수익 창출 효과에 힘써야 한다. 나아가 예술적인 스타일과 정신문화적인 민족성을 포함한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힘쓴다면 더욱 더 발전된 애니메이션 산업의 국제화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novel ‘Journey to the West’ is one of the four greatest masterpieces in China. It is widely known in Korea and Japan,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to China. As a result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among the four countries, animations about ‘Journey to the West’ produced in Korea and Japan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ones from China in terms of visual images and plot. Whether the ethnicity of the country is well reflected in the animation work is a criterion to judge the completeness o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each ethnicity of Korea, China and Japan influenced it’s work. The animation works of each country are good comparative material because they show the strong ethnicity and social aspect of each countr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differences in the characters of ‘Journey to the West’ which is produced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examined differences in ethnic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formation. Also this study looked at the success factors of Korean and Japanese anim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we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intergradation and variation of ‘Journey to the West’ in China, Korea, and Japan are explored and relationship between Sonokong character and ethnicity in ‘Journey to the West’ anim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The study showed that the animation ‘Journey to the West’ was reorganized in three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causes of this phenomenon were the degree of fusion of cultural propagation, religious elements and the influence of modern social culture.
China should promote itself international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its culture and modern culture, develop animations for various age groups, including children and adults, and work to generate revenue through various animated derivatives. Furthermore, if China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including artistic style and spiritual, cultural and ethnicity, we can expect to see an even more advanced animation industry become international.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한 일 애니메이션 ‘서유기’의 생성 및 전파와발전
1. 중국에서의 ‘서유기’ 생성과 발전
2. 한국에서의 ‘서유기’ 전파와 발전
3. 일본에서의 ‘서유기’ 전파와 발전
Ⅲ. 한일 애니메이션 ‘서유기’의 전파와 변이
1. 한국 ‘서유기’ 애니메이션의 변이
2. 일본 ‘서유기’ 애니메이션의 변이
Ⅳ. 한중일 ‘서유기’ 애니메이션 속 손오공 캐릭터와 민족성의 관계
1. 한중일 손오공 캐릭터의 특징
2. 한중일 손오공 캐릭터와 민족성의 관계
3. 한중일 ‘서유기’의 문화적 차이의 원인
4. 중국 애니메이션의 국제화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