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 분야 캠퍼스타운 구축을 위한 사례 연구
이용수 381
- 영문명
- A Case Study for Building a Campus Town in Culture and Art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문석(Kim Moon 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3, No. 3(통권 9권), 17~2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울시에는 70여 개의 많은 대학이 소재한다. 서울시는 일정 구역을 지정하여 지역전체를 새롭게 건축하는 도시 재개발 방식을 취하였었다. 그러한, 결과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주민들과 그들만의 문화적 흐름이 대다수 사라지는 방식의 개발이었다. 이러한 사업방식은 인적, 문화적 단절로 이어져 지역만의 특성이 사라져 버리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화적 단절을 방지하고 청년과 함께 세대별 교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대학 중심의 새로운 도시 활성화에 주목하였다. 서울시에서 2016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도시활성화에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캠퍼스타운 사업 중 문화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된 연구는 캠퍼스타운의 개념을 토대로 사업기획, 학생표본조사, 사업수정 등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제안된 사업기획의 주된 내용은 지역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한 문화예술 사업이다. 지역의 역사적 배경을 기반으로 문화와 경제가 발전하는 장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more than 70 universities in Seoul. The city of Seoul has taken a redevelopment method of urban redevelopment by designating a certain area and newly building the entire area. Such a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the way in which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and their culture were living in the area. This type of business leads to human and cultural disruptions, resulting in the disastrous disappearance of local characteristics. Seoul City focused on revitalizing new universities centered on universities that can prevent cultural interruptions and facilitate intergenerational exchanges with young people. The campus town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in Seoul city since 2016, is expected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c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e and art field of campus town business. The main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campus town, such as business planning, student sample survey, and business modification. The main contents of the proposed business plan include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arts projects reflecting the trends of the times. We hope to become a place where culture and economy develop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gion.
목차
Abstract
요약
1. 서론
2. 캠퍼스타운의 개념 및 사업 배경
3. 캠퍼스타운 기초 기획 및 설문조사
4 캠퍼스타운 문화예술분야 기획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콘텐츠개발의 효율적 향상을 위한 고찰
- 이병헌 배우론
- 경제주간지 표지이미지 내 개별이미지의 상징성 연구
- 문화예술 분야 캠퍼스타운 구축을 위한 사례 연구
- 광고 의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 공공디자인측면의 전광표지(VMS/ITS)디자인 개선 방향
-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융합 연구
- 래리 리버스(Larry Rivers)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연구
- 전자그림책의 그래픽텍스트 요소 선호도 연구
- VR 영상의 몰입도가 웰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미치는 영향
- 농업디자인 관련 연구동향 및 시사점
- 켈러의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정보시각화 디자인 교육방법 제안
- 총기와 총격전이 서사의 요소로 활용되는 한국 영화의 흥행요인에 대한 고찰
- 사진의 신화적 언어화와 이미지 배열을 활용한 광고그래픽 연구
- 포지셔닝맵을 활용한 신용카드 브랜드의 다차원척도 연구
- 도로표지디자인 효율화를 위한 도로표지 관련규정에 관한 고찰
- 매장의 온오프통합형 서비스스케이프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