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terminants of Multi-disciplinary Stud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flict and Self-Development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유승주(Seung Ju YU)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5권3호, 19~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수전공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복수전공을 수강하게 된 동기, 과정, 장정과 단점, 갈등경험 등의 실태에 대해 현상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범주와 9개의 주제모음, 주제 23개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전공 수강 신청하게 된 요인에 대해 졸업 후 자신의 진로에 대해 ‘취업기회 탐색’과 실제 전공학과 외 분야를 배우고 싶은 취지의 ‘새로운 전공분야 탐구’, 그리고 타인보다 ‘효율적 시간활용’ 등의 실리적 동기와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상을 반영하듯 ‘불안한 미래’, ‘주위의 권유’ 등과 같이 자의적 원인보다는 환경적 필요성에 의한 막연한 기대치로 연구되었다.
둘째, 복수전공 수강 중 느끼는 어려움의 요인에 대해 ‘과도한 과제와 시험’, ‘수업 및 학과운영’, 학과교수 및 전공학생들과의 ‘관계성’ 등과 같은 수행과정 중 스트레스와 전공에 대해 ‘기초지식 부족’, ‘실무이해 부족’과 각 교과별 다양한 ‘교수학습법’ 등의 전공학습과정 중 스트레스 및 ‘교재교구구입’ 등과 같은 지출 부담과 복수전공자로서 ‘차별적 경험’과 복수전공자들을 위한 ‘학교측 체제 미흡’ 등의 교육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로 연구되었다.
셋째, 복수전공자에 대한 학교 또는 복수전공 학과에서 지원해야 할 부분을 묻는 질문에 ‘복수전공자를 위한 특별제도 마련’, ‘학교행정정보 접근성 확보’ 등을 학교측에 ‘복수전공자 오리엔테이션’ 실시와 기존 전공학생들과의 ‘소통’과 ‘형평성’을 복수전공 학과에 대한 바람으로 연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e studied the status of multiple majors, such as motivation, process, long-term and short-term, and conflict experience, in a phological way. The study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nine topics, and 23 topics. The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applied for double major, and other factors such as discovery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discovery of new majors as well as examination of new field for actual needs of others.
Second, for the factors of difficulties felt during double major classes, excessive tasks and tests , class and department management , relationship among professors and students of various courses, such as relationship .
Third, when asked about the areas to support multiple majors or multi-engineering departments, they prepared special systems for double major students and secured access to information on school administration.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외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장기미술치료를 통한 강력범죄피해 외상경험자의 회복과정
- 지적장애 여성의 모성 위기와 모성 정체성 회복 과정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