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사례연구를 통한 계획적 측면의 현황과 시사점
이용수 64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of Temporary Shelter for Disaster Victims through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예나(Jung Ye Na) 문찬양(Moon Chan Yang) 김미경(Kim Mi Kyu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2권 제2호, 65~7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of temporary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A document research method and case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emporary shelters since 2000. Researchers found three types, namely, partition type, tent type, and self-assembly type through the 16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projects. In the analysis of these cases, two aspects were classified: the first was formal aspect, which was focused on the simplicity of shape, ease of deformation, and light weight of materials. The second was functional aspect, which was focused on cost-benefit, safety, durability, ease of use, and regional applicability. New considerations for disaster temporary shelters, such as sustainability, technology, and urban settings, must be assessed to determine how they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provide high-density housing for urban environments, expedite delivery and installation of shelter units, and provide options that are more acceptable to communities. Therefor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rough network content analysis and case studies will contribute to the current disaster housing strategies and will serve as guidelines at all levels: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개념과 유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