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다양성의 부정적 효과 완화 방안:

이용수  486

영문명
A Study of the Negative Effect of Gender Diversity and Its Mitigating Solution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전무경(Jeon Moo Kyeong) 김학수(Kim Hack Soo)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집 4권, 141~17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60년간에 걸쳐, 다양성은 경영학 분야에서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있었으며, 부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다양성은 실무에서 시한폭탄의 뇌관과도 같았다. 그리고 사회범주 다양성이 대부분 부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결과가 제시되었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경영관리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고 있고 조직에서의 여성 고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성별다양성의 관리방안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다양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키는 방안으로서 다양성 친화형 인사제도 및 CEO의 다양성 친화 태도 중에 어떠한 관리기제가 보다 효과적인 방안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성별다양성의 관리를 시스템에 맡길 것인가 아니면 사람에게 맡길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한다. 83개의 기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별다양성은 조직 의사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다양성과 조직 의사소통 간의 관계에서 다양성 친화형 인사제도 및 CEO의 다양성 친화 태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양성 친화형 인사제도는 유의하지 않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반면, CEO의 다양성 친화 태도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CEO의 다양성 친화 태도가 높을수록 성별다양성이 조직 의사소통에 유의하지 않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가 함의하는 경영학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ver the past six decades, Diversity has been at the center of a hot debate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e diversity that has had a negative effect has been the primer of a time bomb in practice. In addition, The results that social category diversity has mostly negative effects were presented, and various management measures were proposed to mitigate it. Currently, Women ’s social advancement is increasing in Korea and women’ s employment in the organiz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gender diversity management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ich management method is more effective in Diversity-Friendly HRM and CEOs’ Diversity Friendly Attitude as a way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diversity. In other words,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gender diversity should be managed by the system or by human.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83 companies showed that gender diversity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Diversity-Friendly HRM and CEOs’ Diversity Friendly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iversity-Friendly HRM showed no moderating effect and CEOs’ Diversity Friendly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EOs’ Diversity Friendly Attitude, the more gender divers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the management implied by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Ⅲ. 실증 분석
Ⅳ. 연구가설 검증
Ⅴ. 연구 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무경(Jeon Moo Kyeong),김학수(Kim Hack Soo). (2018).성별다양성의 부정적 효과 완화 방안:.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 (4), 141-176

MLA

전무경(Jeon Moo Kyeong),김학수(Kim Hack Soo). "성별다양성의 부정적 효과 완화 방안:."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4(2018): 141-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