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팀 인적자원 확보가 개인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2
- 영문명
- The Effects of Team Human Resource Acquisition on Employee Well-Being: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임희영(Lim Hee Young) 권나영(Kwon Na Young) 김민수(Kim Min Soo)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집 4권, 177~1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녕감이 높은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높은 성과를 보임에 따라,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의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탐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의 안녕감의 선행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 조직 내 과업 수행의 단위가 팀 중심으로 이뤄짐에 따라 안녕감의 선행요인으로 팀 수준의 요인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 수준의 인적자원 확보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구성원의 안녕감을 높이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개인 안녕감의 선행요인으로는 팀 수준의 인적자원 확보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팀 수준의 안전 분위기와 개인 수준의 직무열의를 그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보고 2-2-1-1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팀 수준의 성과 관리가 이뤄지는 국내 기업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44개 집단의 2,036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다수준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팀 수준에서 팀 인적자원 확보와 팀 안전 분위기는 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팀 수준과 개인 수준을 연결하는 팀 안전 분위기와 직무열의 간의 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개인 수준에서 직무열의와 안녕감 역시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베이지안 추출법으로 팀 수준 인적자원 확보, 팀 안전 분위기, 직무열의, 안녕감 간의 2-2-1-1의 모형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팀 수준의 인적자원 확보가 구성원 개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와 관리자에게 주는 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the workplace, the meaning and a role of team has changed. Work team refers to organizational units composed of employees who work interdependently and the unit performs a team task in organiz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scope of antecedents to well-being from individual level to team level. We propose 2-2-1-1 mediation model that team human resource acquisition lead to individual wellbeing, also team safety climate and job engage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human resource acquisition and well-being. Data collected from 2,036 participants (in 44 team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SEM). Results suggest that team level human resource acquisition positively related to safety climate, safety climate positively associated to individual level of job engagement, and also job engagement positively related to well-being. Moreover, the indirect effect of team human resource acquisition through team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job engagement on well-being was revealed by Bayesian approach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more detai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