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기 신체장애여성의 여성 정체성 형성 경험 연구
이용수 190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the Female Identity of Young Physically Disabled Women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홍서윤(Hong Seoyoon) 문영민(Moon Young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2권 제1호, 132~171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를 통해 청년기 신체장애여성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다섯 명의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청년기의 여성 정체성 경험에 관한 질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사례 내 비교와 사례 간 비교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주제를 추출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장애여성으로서 몸의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여성 정체성 논의가 주요하였다. 먼저 정상성 이데올로기에서 비롯된 여성성의 억압이 가정, 직장, 그리고 연애 관계에서 드러났다. 또한 현대사회의 청년 문화와 여성 정체성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여성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장애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에서 탐색하지 않았던 청년기 신체장애여성의 정체성을 탐구하였으며, 생물학적ㆍ사회적으로 여성 정체성 확립이 요구되는 청소년기와 성인기 여성 사이에 놓인 청년기 장애여성 집단의 정체성을 현대의 청년 문화 속에서 탐색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o explore the awareness of forming identity of young physically disabled female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female identity of five participants,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constant comparison an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e used to extract the themes. Major finding of the study is related the body image of physically disabled females, which lead the discussion to oppression of female identity by social ideology and the awareness of gender image by intersection of the basic female identity and changing culture of youngs in modern society. The major difference of the study from advanced researches is concentrating the group of young physically disabled females.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4. 사례 소개
5. 연구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