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Good Kindergarten Class of a Pre-Kindergarten Teachers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리(Kang, Kyungle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153~1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예비 유아교사의 좋은 유치원 수업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Miller(1996)가 제시한 균형(balance), 포괄(inclusion), 연계(connection)의 개념을 중심으로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이 반영된 유치원 수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0명이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방 법인 반성적 저널 작성하기를 통해 예비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좋은 유치원 수업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하여 유치원 수업의 목표인 창의적 발달, 정서적 발달, 신체적 발달의 균형(balance)이 요구된다. 둘째,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좋은 유치원 수업은 유아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한 포괄(inclusion) 이 요구된다.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 유아교사의 영성에 기초한 변용학습(transformation)을 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좋은 유치원 수업의 교육과정은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 자기와 자아, 마음과 신체, 개인과 공동체, 나와 지구, 지식의 다양한 분야 영역의 연계(connection)가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좋은 유치원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good kindergarten class of a pre-kindergarten teachers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of holistic educa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balance, inclusive, and connection proposed by Miller(1996).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re-Kindergart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B professional college.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reflection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the objectives of the good kindergarten class is required to balance the creative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and physical health development for the whole development of infants. Second, in the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good kindergarten class is required inclusiv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 and infant. For the whole development of infan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infant is important, which is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 learning based on the teacher s spirituality. Third, in the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the curriculum of the good kindergarten class is requi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thinking and the intuitive 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bo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me, the relationship with me and the earth,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various fiel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a good kindergarten class in view of holistic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균형(balance): 수업목표
Ⅴ. 포괄(inclusion): 유아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Ⅵ. 연계(connection): 교육과정
Ⅶ.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념중심교수방법의 관점에서 분석한 유아교사의 과학적 개념 교수 사례연구
- 지장경 에 나타난‘보시’의 유아교육적 함의
- 예비 유아교사의 좋은 유치원 수업에 대한 의미 탐색: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을 기반으로
- 대학생의 마음챙김 기반 수업 사례연구
- 교육기부를 통한 실천적 지식전달이 의사소통역량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교직발달단계별 학생이해역량 분석
- 대학교 스포츠동아리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 경제적 소외계층 아동의 스트레스가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경제적 소외의 조절효과
- 선재동자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도,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