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배달강좌제’를 통해 본 평생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538

영문명
The Publicity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Delivery Lecture System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최경운(Choi, Kyungwoon) 윤창국(Youn, Changgook)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4권 제3호, 99~12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생교육 정책을 통한 공공성 강화방안 및 방향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대전지역의 대표적인 평생교육서비스인 배달강좌제의 참여실태와 학습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공성 개념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검토하며 공공성 개념은 1) 인민 2) 공공복리3) 개방성이라는 세 가지 의미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어 평생교육의 공공성은 상당히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대전지역 참여 학습자들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명의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전지역의 배달강좌제는 40대 가정주부가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1년에 1 강좌씩 주로 문화예술분야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강좌제의 만족도는 전 연령에 걸쳐 높게 나타나 성공적인 정착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배달강좌제를 통해 평생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민간영역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 마련이 필요하며, 소외계층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한 문제를 지역사회에서 구동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정책들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재조정할 필요가있고, 향후 지역문화형성을 위한 기능과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논의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ublicity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Delivery Lecture System (DLS) in Daejun,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ories and discourse about publicity and publicity in the education field. The concept of publicity generally includes three meanings such as 1) people 2) public good 3) openness. Also, based on discourse on the educational publicit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publicity in lifelong education has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ubject of practice, the degree of openness and accessability, and the aim of society. As the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satisfied with DLS because of easy access systems and programs that met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oposes ways to improve and enhance the publicity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DLS. First, DLS should provide and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bout DLS. Second, DLS should consider the range of beneficiaries. Finally, DLS should make an effor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목차

I. 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설계
Ⅳ. 배달강좌 참여실태 및 평생교육의 공공성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경운(Choi, Kyungwoon),윤창국(Youn, Changgook). (2018).‘배달강좌제’를 통해 본 평생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고찰. 평생교육학연구, 24 (3), 99-123

MLA

최경운(Choi, Kyungwoon),윤창국(Youn, Changgook). "‘배달강좌제’를 통해 본 평생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고찰." 평생교육학연구, 24.3(2018): 99-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