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itachinokuni Hudoki” and Emperor Yamatotakeru - What is Insinuated in Differences of Traditions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洪聖牧(Hong, Seong-Mo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2輯, 493~5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古事記]と[常陸国風土記]に伝えられるヤマトタケルの伝承を検討し、その伝承の相違について考えてみたものである。[古事記]のヤマトタケルは悲劇性に彩られた英雄としての性格や浪漫的要素の強い説話の主人公として描かれている。一方[日本書]のヤマトタケルは天皇に忠誠を尽くすといった、いわば従属的な人物として描かれている。ところが常陸
国風土記にみられるヤマトタケル天皇は、主に治水事業や国状視察など穏健な為政者としての性格をもつ。中央側の歴史記述では即位しない皇子が[常陸国風土記]では一貫して天皇と称されている。[常陸国風土記]に描かれているヤマトタケル天皇の伝承は、ヤマトタケルを英雄として伝える[古事記]に対し、英雄的な活躍は一切語られていない。ただ常陸地方を巡回し、
井戸を掘ったり、里の名前をつけたり、妻と旅をしたりするなど、諸風土 記によく現われるありふれた内容のみである。こちらのほうがヤマトタケルに纏わる伝承の原型で、[古事記]に伝えられるヤマトタケルの東征の伝
承は、元々遠征ではなく、王者(天皇)たる資格を得るため常世の国への旅であったと思われる。[古事記]のヤマトタケルは、常世の国である常陸の国へとの巡幸を果たし、都へ帰る途中何かの理由でなくなった皇子の不遇 の死に対する同情と鎮魂の意を込めて作り上げられたものであろう。
영문 초록
Yamatotakeru of “Kojiki” is drawn as the hero of a person’s character as a hero who was colored by tragedies and a strong tale of romantic elements. On the other hand, Yamatotakeru of “Nihonshoki” is drawn as
a subordinate person, to do loyalty to the Emperor. However, Emperor Yamatotakeru found in “Hitachinokuni Hudoki” is described as a moderate politician, mainly in flood control projects and country inspections. In the
historical description on the central side the imperial prince is not consistently called “Emperor” in “Hitachinokuni Hudoki”.
The handover of Emperor Yamatotakeru depicted in “Hitachinokuni Hudoki” has not told any heroic activity against “Kojiki” which conveys Yamatotakeru as a hero. Just around the Hitachi region, digging wells,
giving the name of a village, traveling with his wife, etc. are only common contents that often appear in each Hudoki. Yamatotakeru of “Kojiki” is a recipe that has played a crucifixion to the constantly changing country of
Hitachi and was built up with the sympathy for the unfaithful death of the prince who passed away for some reason on the way back to the city and the spirit of soul Will.
목차
1. はじめに
2. [古事記]のヤマトタケル伝承
3. [常陸国風土記]のヤマトタケル伝承
4. 伝承の相違が語るもの
5. おわりに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源氏物語』의 색채
- 고고자료로 본 백제와 왜(倭) 교섭
- 『学問のすすめ』ㄴの成立背景と実学に 関する一考察
- 『常陸国風土記』とヤマトタケル天皇
- 『和英語林集成』의 三字漢字表記語
- 無縁墓についての一考察
- 일본어 감정 표현의 발화와 지각에 관여하는 음성자질
- 연어(連語)에 기반한 엔카(演歌) 가사 분석
- 보조동사 「-てくれる」의 한국어 대응연구
- 일본어의 회화 종결부에 나타나는 ‘다음에’류 의례성 인사 표현
- 1930년대 일본의 모던에서 파시즘으로의 전환기 연구
- 모리 오가이(森鷗外)의 독일 3부작에 관한 고찰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문학에 나타난 전후 일본의 사회상
- 通言語的な視点から見た日本語の受動構文
- 格助詞「で」の意味と用法に関する研究
- 일본의 전후기억과 송환의 망각
- 韓國人 日本語 初級 學習者를 위한 어휘 교수․학습 방안 제안
- 定点観測から読み解く大邱広域市の言語景観
- 言語景観でよみがえった妖怪物語
- 説明的場面における談話標識「ナンカ」の 使用傾向
- 제2언어로서의 일본어판 읽기 폭 검사의 타당성 검증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불꽃(花火)』과 카프카 『변신』과의 비교연구
- 芥川竜之介「羅生門」論
- 해외교류 프로그램의 구축과 운영에 대하여
-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일본동화집> 연구
- 村上春樹『騎士団長殺し』に描かれた記憶
- 쓰시마 유코(津島佑子)와 한강 문학의 마지널(marginal)성
- 일제강점기 일본어 학습서 『日鮮語學敎範』에 대한 일고찰
- 小林勝の『断層地帯』のテキストの変化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