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apanese Passives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瀬 楽 亨(Seraku, Tohru)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2輯, 107~1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受動構文は現代言語学において最も研究がすすんでいる構文の一つであり、記述的․類型論的․機能的․認知的․理論的․歴史的な視点から議論 がなされてきた。日本語の受動構文(および関連構文)の先行研究も多いが、通言語的タイプ分けという観点から集中的に日本語の受動構文を扱った研究はあまりない。本稿では、まず、直接受動と間接受動(および持ち 主の受け身)という伝統的な区分を取り上げ、類型論的な視点も踏まえて検討を加える。次に、他言語のヴォイス構文を取り上げ、日本語受動構文の研究には(方言も視野に入れた)類型論的視座が必要であると論じる。具体的には、絶対受動․逆行構文․逆使役などを取り上げる。以上の議論を通して、通言語的な視点から日本語の受動構文をヴォイス体系に位置づけ るための土台を提供する。
영문 초록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ssives from diverse points of view (e.g. descriptive, typological, functional, cognitive, theoretical, historical). There is a wealth of previous works on Japanese passives, but
serious attention has been rarely paid to the issue of how Japanese passives may be characterized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In this article, we first survey the commonly assumed classifications of Japanese passives as well as a number of properties of each type of passive construction against the research outcome of typological studies on passives. Furthermore, we consider voice constructions which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on Japanese passives (such as absolute passives, inverse constructions, and anti-passives), with the purposes of clarifying whether these constructions are observed in Japanese and emphasizing that an adequate analysis of Japanese passives should incorporate insights from typological work (including grammatical studies of Japanese dialects). Through the present survey, we provide a basis for situating Japanese passives in the context of voice constructions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목차
1. はじめに
2. 日本語の受動構文: 分類と各タイプの特徴
3. 日本語ヴォイス研究への示唆: 他のヴォイス構文を踏まえて
4. おわりに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源氏物語』의 색채
- 고고자료로 본 백제와 왜(倭) 교섭
- 『学問のすすめ』ㄴの成立背景と実学に 関する一考察
- 『常陸国風土記』とヤマトタケル天皇
- 『和英語林集成』의 三字漢字表記語
- 無縁墓についての一考察
- 일본어 감정 표현의 발화와 지각에 관여하는 음성자질
- 연어(連語)에 기반한 엔카(演歌) 가사 분석
- 보조동사 「-てくれる」의 한국어 대응연구
- 일본어의 회화 종결부에 나타나는 ‘다음에’류 의례성 인사 표현
- 1930년대 일본의 모던에서 파시즘으로의 전환기 연구
- 모리 오가이(森鷗外)의 독일 3부작에 관한 고찰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문학에 나타난 전후 일본의 사회상
- 通言語的な視点から見た日本語の受動構文
- 格助詞「で」の意味と用法に関する研究
- 일본의 전후기억과 송환의 망각
- 韓國人 日本語 初級 學習者를 위한 어휘 교수․학습 방안 제안
- 定点観測から読み解く大邱広域市の言語景観
- 言語景観でよみがえった妖怪物語
- 説明的場面における談話標識「ナンカ」の 使用傾向
- 제2언어로서의 일본어판 읽기 폭 검사의 타당성 검증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불꽃(花火)』과 카프카 『변신』과의 비교연구
- 芥川竜之介「羅生門」論
- 해외교류 프로그램의 구축과 운영에 대하여
-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일본동화집> 연구
- 村上春樹『騎士団長殺し』に描かれた記憶
- 쓰시마 유코(津島佑子)와 한강 문학의 마지널(marginal)성
- 일제강점기 일본어 학습서 『日鮮語學敎範』에 대한 일고찰
- 小林勝の『断層地帯』のテキストの変化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