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owever’복합관계사 구문의 통사, 의미 구조에 대한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발행기관
영미어문학회
저자명
박영순
간행물 정보
『영미어문학연구』영미어문학연구 제33집 1호, 31~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previous studies of AP-headed free relatives, pointing out some problems, and finally suggest possible solutions. After briefly describing linguistic phenomena of AP-headed free relatives, this study will critically review Bresnan and Grimshaw (1978) and Larson (1987). Then, this article will identify problems with Larson s suggestions and propose solutions accordingly. According to Bresnan and Grimshaw, free relatives without prepositions are derived from a PP-headed relative, while those with prepositions are derived from NP-headed relatives. Against them, however, Larson postulated that APs must have Case and the adverbial suffix -ly has a function as a Case assigner. Therefore, An adverb phrase can be an adjective phrase. However, Larson s suggestion is not sufficient to be generalized in that Larson deals only with adverbs ending with-ly. That is, there is another adverb which can satisfy his suggestion, which is called “flat adverbs” such as hard, fast, etc. This paper suggests that many other types of adverbs should be included in this analysis and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in respect to Case theory.

목차

1. 서론
2. 선행사 포함 생략 구문
3. 자유관계사절의 선행연구
4. Larson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순. (2018).‘However’복합관계사 구문의 통사, 의미 구조에 대한 연구. 영미어문학연구, 33 (1), 31-51

MLA

박영순. "‘However’복합관계사 구문의 통사, 의미 구조에 대한 연구." 영미어문학연구, 33.1(2018): 3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