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Internal Audit Evaluation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윤리경영학회
- 저자명
- 윤영수(Young-Soo Yoon) 이호영(Ho-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윤리경영연구』제18권 제1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관 상임감사 직무실적 평가수준이 재무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상임감사 품질의 대용치로 학력, 경력 등 인구사회적 통계치를 이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객관적이고 직접적인 자료인 상임감사 직무실적 평가 결과를 이용하였다. 재무 및 비재무적 성과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감사의 전문성과 독립성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 지표인 계량관리업무비와 재무예산성과에 각각 음(-), 양(+)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비재무적 성과에는 음(-)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재무적성과의 경우 지표 특성에 따라 감사의 전문성과 독립성 효과가 지표별 혼재되어 나타나 계량관리업무비의 경우 재무적성과의 지표로서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한적이나마, 감사의 전문성과 독립성이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상반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재무적 성과의 경우 비재무적 성과에 비해 모니터링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조직원이 재무적 성과 달성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상임감사의 전문성 평가가 재무전문성 위주의 평가지표로 인해 재무전문성이 높은 상임감사가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내부통제 강화 노력의 경우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일관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감사의 강력한 내부통제 노력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분석으로 상임감사 직무실적 지표 개선 전ㆍ후 비교 분석결과 지표의 방향성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아 상임감사 직무실적 평가 결과가 상임감사 품질의 대용치로 제한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추가적인 지표 개선을 통해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ternal audit evalua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Prior studies in internal audit use education and experience as the quality of internal auditors. This study, however, measures the quality of internal audit based on an independent evaluation over internal auditor by government representatives. This definition is more objective and is subject to smaller bias than those used in prior studies. Management performance used in this study is publicly disclosed and is evaluated by government committees. This performance is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dimension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show that financial performa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internal auditor. On the other h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internal aud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nitoring over financial performance is relatively easier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Thus, employees can focus more on the achie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Also, a possible reason for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 audit evalu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is because expertise of internal auditors is evaluated based on financial perspectives. Additional analyses show that the results are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n internal auditor evaluat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가설 설정 및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한계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윤리경영연구 제25권 제1호 목차
- 지속가능성 이론에서 본 지속가능성 규제 강화를 감안한 기업의 접근 시각 검토: 기업 ESG경영 추구 시 경쟁법 적용 상의 고려 사항
- 에너지산업의 탄소감축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Shell, TotalEnergies, ExxonMobil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