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이용수  517

영문명
A Review of Experimental research o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저자명
김보미(Kim, Bo Mi)
간행물 정보
『특수·영재교육저널』제5권 제1호, 31~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국내 실험연구 논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의 개괄적 특성(연구대상, 실험설계방법, 자료분석), 독립변인(진로집단상담 프로 그램)의 회기와 기반이 된 이론,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방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향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와 적용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연구는 선행연구에 따라 2009년도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한 국내 실험논 문들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43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연구는 분석 틀의 세 가지 영역에 따라 총 8개의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로서 먼저 개괄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설계는 대부분 사전·사후설계연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방법분석 결과로는 크게 양적통계방법과 질적통계방법으로 나눌 시 33편이 양적통계방법이며 질적통계방법은 10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통계 방법으로는 변량분석 방법 중 t 검증과 혼합변량분석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독립변인(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결과로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목적과 연구대상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중 상담기법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사용된 논문도 나타났다.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구들 진로성숙도, 진로자기효 능감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진로성숙도검사, 진로의식성숙도검사, 진로결정효능감검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는 모든 연구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앞으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experimental  studies  on  career  group  counsell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areer  group  counselling  for  future  research.  There  is  a  growing  emphasis  that  career  group  counselling  enhance  the  adoption  of  successful  adult  lives  by  general  student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9  to  2016  revealed  43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43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8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experimental  design,  data  analysis,  carer  group  counselling  program(independent  variable),  theory,  objective  skills(dependent  variable),  method  of  measurement,  result(the  effectiveness  of  each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8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group  counselling  were  presented.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미(Kim, Bo Mi). (2018).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특수·영재교육저널, 5 (1), 31-50

MLA

김보미(Kim, Bo Mi).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분석." 특수·영재교육저널, 5.1(2018): 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