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 학습자의 명사화 구문 사용 연구
이용수 209
- 영문명
- Nominalization in L2 learners’ written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박혜선(Hyeson Park)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29호, 117~1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ominalization construc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written English, focusing on the interaction of text types and learners’ English levels with the use of the target construction. A small sub-corpus compiled out of the Yonsei English Learner Corpus was analyzed, produc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token frequency and diversity of nominalization were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s well as text types. Secondly, the cohesive function of nominalization did not exhibit a strong relation with either text types or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cquisition of the cohesive function of nominalization appears to be a demanding task even for high proficiency learners, justifying a provision of explicit instruction on its form and function. Future research on the comprehension of nominalized structures and its effect on knowledge acquisition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is suggested.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oling With the Facts: Revisiting Lillian Hellman’s The Children’s Hour
- 장애 정치학과 포스트휴먼 윤리: <작은 신의 아이들>과 <사랑의 모양>에 재현된 수화 여성
- 아동의 언어습득 차이: 부정극어를 중심으로
- Arundhati Roy’s The God of Small Things : An Indictment of Patriarchy.
- 제1차 세계 대전을 통해서 본 타고르의 작품 세계
- 수요자중심의 교양영어 교과과정 개편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종류와 영어성취도의 연관성
- 영어 학습자의 명사화 구문 사용 연구
- 대학 교양영어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 비교 연구
- T. S. Eliot and W. B. Yeats: 1915-1933
- 포스트식민 국가를 다시 해석하기
- 코메트릭스(Coh-Metrix)를 활용한 공무원 7급과 9급 영어 시험 지문 분석
- 무어인 이야기 다시 쓰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