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Has Social Worker Burnout Been Studied? : A Review of studies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복지실천학회
- 저자명
- 류주연(Ryu, Ju-Yeon) 손유경(Son, Yoo-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8권 제2호, 65~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16년까지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다룬 연구 39편을 선정하여 서술적 분석과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서술적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에 활성화되기 시작하였 으며, 주로 양적연구에 편중되어 대부분 소진의 발생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검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제별 분석 결과에서는 소진의 개념요소가 한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 며, 종사자의 소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직적 수준이 중점적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소진의 발생에 관하여 소진을 예방하고 방지하는 보호요인과 악화하는 위험요 인을 비롯하여 소진의 발생과정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 소진에 대한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비롯하여 이와 관련된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prevent burnout of social worker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 selected and analyzed 39 KCI empirical studies on social workers’ burnout that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6. By using descriptive analysis, we found there has been a growth in the number of studies addressing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since 2010 and 35 of literatures used the quantitative method. And by using thematic analysis, it appeared that burnout was defined narrowly and most studies focused on the effects of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problems of turnover, job performance and outcome of agencies. Also, they analyzed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at more research on burnout is needed to diversify the definition of burnout, research methodology, and related variabl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