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발행기관
- 한국복지실천학회
- 저자명
- 길태영(Tae-young Kil) 조원휘(Won-hui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8권 제2호, 37~6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 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DPE) on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articipants were 60 students (experimental group:30, control group:30) attending at university in D city and DPE was consisted of 8 sessions (twice a week, 120 minutes each). Data were collected before, after program and 10 weeks follow up.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COVA,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DPE was effective on raising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o help university students of majoring in social welfare to raise awareness of well-dying,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