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고대 목간의 기록과 서체
이용수 310
- 영문명
- Korea’s Record of Ancient Wooden tablets and calligraphy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저자명
- 손환일(SON, Hwan-Il)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학사학보』제37권,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간(木簡)은 생활기록과 행정문서들이 대부분이다. 생활기록은 내용이나 기록양식에 있어서 기념기록인 금석문과 달리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기록문 화는 서체학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역사, 국어사, 서지학(문헌학) 등의 종합적인 연구자료를 제공한다. 목간 기록의 분류는 기록방법과 기록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록방법은 표제, 편철, 도각, 낙인, 패찰 등의 기록방법이 있고, 기록내용은 논어, 게송, 기원, 증표, 습자, 재가, 수위, 처방, 인사추천, 서찰, 청원, 부기, 기사, 시가, 구구단, 보고서 등의 내용을 기록한 목간이다.
묵서인 고대목간의 자형은 예서나 팔분에서 해서로 발달하는 과정에 있다.
행정 관료에 의한 행정기록들에는 경생(經生)들에 의한 사경서법(寫經書法) 의 영향도 있고, 독자적인 서법의 경향도 있다. 목간을 통하여 이러한 독특한 서법들을 발견할 수 있다. 목간의 연구가 금석문의 연구와 다른 점이 바로 이런 점에 있다. 한국 고대 해서법은 6세기 생활기록인 행서나 초서를 먼저 선호 하여 사용된 후 해서의 필법이 갖추어졌다. 이 시기가 해서의 기본 필법이 갖추어지는 시기이다.
영문 초록
Most of wooden tablets were used for recording everyday life and for administrative purpose. Unlike an epigraph, the records of daily life were various in the contents and the form. A variety of recording culture have been providing the comprehensive research materials in a variety of fields: calligraphy, Korean language history, bibliography and so on. Wooden tablets are classified into a recording method and a content. The recording methods are as in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with : title, filing, carving, branding, labelling and etc. The contents recorded were as in the following : the Analects of Confucius, a praise for Buddha, praying, a certificate, a calligraphy, an approval, a prescription, a letter, an article, a poem, a multiplication table, a report and etc.
The shape of character written in the ink in ancient wooden tablets was in the process from ”clerical script” and ”neo-clerical script” to ”regular script”.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written by the officers were influenced by the transcription method of Buddhist scriptures(of young students) and a unique calligraphy method. These special calligraphies were found through studying the wooden tablets. It is clear that chronological calligraphy research brightens the prospects to study the calligraphy, finding trace of ink stick in the wooden tablets.
That’s why the study of wooden tablets is different from of an epigraph. In ancient Korea, people had preferred and used “semi-cursive script” and “cursive script” in calligraphy, the “regular script” were used after that. In this period, the basic writing method of “regular script” were set.
목차
Ⅰ. 머리말
Ⅱ. 목간(木簡)기록의 분류
1. 기록방법
2. 기록내용
Ⅲ. 목간(木簡)기록의 서체
Ⅳ.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