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교과 「재봉틀로 용품 만들기」 단원의 멀티미디어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ffect of Multimedia Material for 「Making Goods by Sewing Machine」 Unit in Practical Ar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헌주(Park Hun Ju) 이성숙(Lee Sung Su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6권 제2호, 129~1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media material for 「making goods by sewing machine」 unit in practical arts and try to verify whether it was efficiency or not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was used multimedi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ith analyzing effect of applying to the real lesson learning. 「making goods by sewing machine」 unit in practical arts was imported at the seventh curriculum in korea. But the work didn’t go wel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ultimedia material for 「making goods by sewing machine」 which was developed by this study suggests material organization at first logo screen. And a few second later, it turn to first screen automatically. So, if you click, you can see subordinate contents and choose what you want to study. Especially it suggests image to make variety supplies and put to practical use at room of impressions for making a sewing machine friendly which has close relationship. We separated class which had 64,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Na-ju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After analyzing, learning effect we can get these results, About the cognitive area,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ut the psychomotor area and affective area, the experimental group get higher grade than the controlled group. So we can figure out that the multimedi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ad a limit about the cognitive area. But it was effective about the psychomotor area and affective area. So, we have to develop variety multimedi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t unit which is hardly experienced, and make it possible to the individual learning and unify with technology about web.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RCS 동기유발 이론을 적용한 실과 수업이 아동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 주 5일째 수업에 대비한 실과교과의 주제 중심 통합 운영 방안
- 초등학교 인성교육을 위한 실과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 비판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실과 교수학습 방안
- 초등 실과의 생명과학 영역 웹기반수업(WBI)이 학생들의 자연지능에 미치는 영향
-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도출을 위한 기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위생적인 청국장의 간편 제조에 관한 연구
- 실과교과 「재봉틀로 용품 만들기」 단원의 멀티미디어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분석
- VR 기반의 위험 상황 시나리오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안전교육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사들의 농업실습 지도 및 제약요인 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의 실과 가정내용과 일본의 家庭科 내용 비교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