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파벳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 영어 지도
이용수 936
- 영문명
- Teaching primary English using alphabet picture books: Focusing on improving vocabulary and developing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혜라(Shin, Hye-Ra) 김혜리(Kim, Hae-Ri)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4권 2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in primary English and the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based on alphabet picture books. To attain the objective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How does primary English instruction using alphabet picture books impact the children’s learning of vocabulary? 2) What are some aspect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based on the writing activities using alphabet picture books?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26 fourth grade Korean EFL learners were selected. Data for qualitativ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students’ artifacts, survey questions, comments on the lessons, interviews, and lesson transcriptions.
Additionally, vocabular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reading each alphabet picture book. The data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rimary English learning using alphabet picture books has positive impacts on vocabulary learning. For example, the result of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for each text proved that their vocabulary improved. Second,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creativity through a variety of writing activities after reading alphabet picture books. For example, their divergent thinking including originality, sophistication, and flexibility was stimula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re provid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알파벳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 영어 지도
- 초등영어 교사의 영미 아동 문학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 초등영어교과서, ELT 교재 및 원어민 담화완성에 나타난 요청, 초대, 거절 화행 비교 분석
- Constructing Visual Literacy Through Postmodern Picturebooks: Respons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국제어로서 영어의 관점 채택이 TEE 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인식
- 초등 영어 수준에서 의미 관계 중심 활동이 어휘 학습에 대한 몰입과 어휘 지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