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BL을 활용한 학습 활동이 실과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4
- 영문명
- The Study of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Attitude toward Practical Arts and Problem Solving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철(Jeon Young Cheol) 정남용(Chung Nam Y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0권 제1호, 253~27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on the attitude toward Practical Arts Subjec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classes of 64 students in 5th grade of ‘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ampled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o which PBL and regular instructions respectively were applied. After the experiment, the tests of the attitude toward the Practical Arts Subject and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administered, and the effects of PBL on those areas were carefully examin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PBL-applied instruction on ‘Lesson 8. Making Household-Goods with Needles and Threads’ in 5th grade practical arts showed more improvements on the attitude toward practical arts than the regular instruction.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PBL-appli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o the attitude toward practical arts. Second, there exi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BL instruction provided group and the regular instruction provided group. Therefore, PBL-applied instruction was effective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As abov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pply PBL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attitude toward practical arts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Ⅳ.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