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밀양 납석광상에서 산출되는 단괴의 광물조성
이용수 4
- 영문명
- Mineralogy of nodules in the Milyang pyrophyllite deposit, Gyeongsangnamdo, South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문희수(Hi Soo Moon) 이강원(Kangwon Lee) 송윤구(Yungoo Song)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4호, 455~46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ome nodules occur in the Milyang pyrophyllite deposit which are hydrothermal alteration products by Late Cretaceous andesitic tuff. These nodul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 the basis of mineral assemblages; diaspore and pyrophyllite nodules.
The diaspore nodules consist mainly of diaspore, kaolinite, pyrophyllite and pyrite with a small amounts of wavellite and tourmaline. They are light purplish grey in color, ellipsoid in shape and range 1 cm to 15 cm in size. A small or large diffuse band exists in some nodules. The platy coarse-grained diaspore is intergrown with the fine-aggregated kaolinite in the central part of the nodule. It appears that the grain size become fine from center to margin. The pyrophyllite nodules, which have the same shape with diaspore nodules, consist dominantly of pyrophyllite accompanied by small amounts of quartz, kaolinite, svanbergite, wavellite, tourmaline and apatite.
Chemical compositions of alteration zones and nodules show that the wall rock alteration involved mainly the removal of large quantities of silica and alkalies and small quantities of Ca, Mg and Fe. The sharp increase in the Al content of the nodules is the result of residual concentration of alumina by the leaching of the mobile components.
The pyrophyllite nodules were formed in the fluid saturated with quartz as μHK-1 and μH₂O increase. Under this condition, the pyrophyllite-kaolinite-quartz assemblage was stable. Diaspores formed from pyrophyllites in the fluid undersaturated with quartz as μH₂O increases (decreasing temperature). Under this condition, diaspore-pyrophyllite-kaolinite assemblage become stable. The formation temperature of the nodules on the basis of mineral assemblage is estimated as 275~340℃.
목차
ABSTRACT
서언
지질개요 및 단괴의 산출상태
단괴의 광물조성과 조직적 특징
화학조성
단괴의 성인고찰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북지역 폐금속광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韓國 北東部地域 原生代의 火成活動과 變成作用
- Meso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t the Bodeok mine, Boseong area : a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y
- 경북ㆍ의성 동남부에 분포하는 금성산 화산암류의 K-Ar연대와 그주변의 광화시기
- Magmatism and metamorphism of the proterozo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 petrogenet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kbang amphibolites
- 대종천유역 충적대수층의 수리성 분석 및 수위강하예측에 관한 연구
- 밀양 납석광상에서 산출되는 단괴의 광물조성
- 浦港盆地에 分布하는 延日層群의 古地磁氣 硏究
- 장군광산 주변의 변성이질암에서의 누진변성반응 계열
- 경상분지 남서부 진교-사천 지역 전기백악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