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eso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t the Bodeok mine, Boseong area : a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y

이용수  6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Chil sup So(蘇七燮) Seong taek Yun(尹聖澤) Se hyun Kim(金世鉉) Seung jun Youm(廉承埈) Chul ho Heo(許哲豪) Seon gyu Choi(崔善奎)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26권 4호, 433~44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3.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全南 寶城지역 寶德 광산의 에렉트럼 (銀함량=32~73 atom. %)-황화광물 鑛化作用은 선캠브리아紀 片麻岩내의 斷層 열극을 충진한 石英脈으로 산출된다. 석영맥은 광물조성이 단순한 塊狀이며, 構造적으로 2회에 걸쳐 형성되었다. 熱水變質帶 絹雲母에 대한 K-Ar 연령은 155.9±2.3 Ma로서 鑛化作用이 후기 쥬라紀에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流體包有物 연구에 의하면, 鑛化作用은 다양한 CO₂ 함량 (Xco₂=0.0~0.7)과 低鹽度 (0.0~7.4 wt. % NaCl 相當濃度)를 갖는 H₂O-CO₂系 流體로부터 200°~370℃의 溫度범위에서 진행되었다. 鑛化流體의 不混和 (CO₂沸騰) 증거는 鑛化用시의 壓力이 약 1 kar에 이르렀음을 지시한다. 金-銀 沈澱은 base-metal系 黃化鑛物 보다는 후기, 약 250℃ 근처에서 진행되었고, 流體 不混和에 따라 黃化鑛物 沈澱 및 H₂S 일탈이 야기되면서 주로 冷却 및 硫黃分壓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鑛化流體의 硫黃同位元素 조성 (δ³⁴S∑S=1.7~3.3‰)은 硫黃의 火成기원을 나타낸다. 한편, 鑛化流體의 酸素-水素 同位元素 조성 (δ¹⁸Owater=4.8~7.2‰; δDwater=-73~-76‰)은, 寶德광산의 深部 中溫型 含金 鑛化流體는 同位元素的으로 진화된 H₂O-rich 循環天水와 深部 magma 기원의 H₂O-CO₂ 流體와의 混合物로부터 기원했음을 지시한다.

영문 초록

Electrum (32~73 atom. % Ag)-sulfide mineralization of the Bodeok mine in the Boseong area was deposited in two stages of mineralogically simple, massive quartz veins that fill the fractures along fault shear zones in Precambrian gneiss. Radiometric dating indicates that mineralization is Late Jurassic age (155.9±2.3 Ma). Fluid inclusion data show that ore mineralization was formed from H₂O-CO₂ fluids with variable CO₂ contents (Xco₂=0.0 to 0.7) and low salinities (0.0 to 7.4 wt. % eq. NaCl) at temperatures between 200° and 370℃. Evidence of fluid unmixing (CO₂ effervescence) indicates pressures up to 1 kbar. Gold-silver deposition occurred later than base-metal sulfide deposition, at temperatures near 250℃ and was probably a result of cooling and decreasing sulfur activity caused by sulfide precipitation and/or H₂S loss (through fluid unmixing). Calculated sulfur isotope compositions of ore fluids (δ³⁴S∑S=1.7 to 3.3‰) indicate an igneous source of sulfur in hydrothermal fluids. Measured and calculated 0 and H isotope compositions of ore fluids (δ¹⁸Owater=4.8 to 7.2‰, δDwater=-73 to -76‰) indicate that mesothermal auriferous fluids at Bodeok were likely mixtures of H₂O-rich, isotopically evolved meteoric waters and magmatic H₂O-CO₂ fluids.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GENERAL GEOLOGY
ORE VEIN
VEIN MINERALOGY AND PARAGENESIS
FLUID INCLUSION STUDIES
STABLE ISOTOPE STUDIES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Chil sup So(蘇七燮),Seong taek Yun(尹聖澤),Se hyun Kim(金世鉉),Seung jun Youm(廉承埈),Chul ho Heo(許哲豪),Seon gyu Choi(崔善奎). (1993).Meso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t the Bodeok mine, Boseong area : a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y. 자원환경지질, 26 (4), 433-444

MLA

Chil sup So(蘇七燮),Seong taek Yun(尹聖澤),Se hyun Kim(金世鉉),Seung jun Youm(廉承埈),Chul ho Heo(許哲豪),Seon gyu Choi(崔善奎). "Meso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t the Bodeok mine, Boseong area : a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y." 자원환경지질, 26.4(1993): 433-4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