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북ㆍ의성 동남부에 분포하는 금성산 화산암류의 K-Ar연대와 그주변의 광화시기
이용수 44
- 영문명
- K-Ar age of the Keumseongsan volcanic rocks and mineralization in the southeastern part of Euiseong,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현구(Hyun Koo Lee) 김상중(Sang Jung Kim) 윤혜수(Hyesu Yun) 최위찬(Wyi Chan Choi) 송영수(Young Su Song) Tetsumaru Itaya(板谷 徹丸)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4호, 445~4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Keumseongsan caldera is composed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of the Gyeonesang Supergroup, volcanic rocks of the Yucheon Group and basic dykes. The Keumseongsan caldera is formed by subsidence of volcanic rocks, and arc fault developed late. Also, synistral strike-slip fault (N60°W) developed. Volcanic rocks belong to subalkaline rocks and calcalkaline magma series.
First tuffaceous breccia erupted before 71.4 Ma and cavity of magma chamber caused subsidence, which formed arc fault. Basaltic lava erupted at 71.4 Ma and residual fluids containing Fe, As, Pb, Zn and Cu metal elements built the Ohto deposits, which are dated to be 70.5 Ma based on K-Ar age for sericite.
Tuffaceous breccia and tuff erupted between 70.5 and 67 Ma. When volcanic eruption became weakened, cavity in site of magma chamber brought subsidence. Rhyolite intruded and erupted at 67 Ma, and intrusive rhyolite intruded according to arc faults, also. Hydrothermal fluids containing Fe, As, Pb, Zn, Cu, Sb, Bi, Au and Ag formed the Tohyeon deposits. K-Ar age for sericite from the Tohyeon mine gives 66.0 Ma.
Results of field exploration, geochemical analyses of volcanic rocks support mineralization possibility by volcanism. Especially, age of volcanism and mineralization are well in coincidence with results of K-Ar age dating.
By these results, Ohto Cu mineralization is regarded to be associcated with basaltic rocks, while Tohyeon Cu mineralization with rhyolitic rocks.
목차
ABSTRACT
서언
지질개요
지질구조
광상개요
K-Ar연대측정
토론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북지역 폐금속광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韓國 北東部地域 原生代의 火成活動과 變成作用
- Meso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at the Bodeok mine, Boseong area : a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y
- 경북ㆍ의성 동남부에 분포하는 금성산 화산암류의 K-Ar연대와 그주변의 광화시기
- Magmatism and metamorphism of the proterozo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 petrogenet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kbang amphibolites
- 대종천유역 충적대수층의 수리성 분석 및 수위강하예측에 관한 연구
- 밀양 납석광상에서 산출되는 단괴의 광물조성
- 浦港盆地에 分布하는 延日層群의 古地磁氣 硏究
- 장군광산 주변의 변성이질암에서의 누진변성반응 계열
- 경상분지 남서부 진교-사천 지역 전기백악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