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 기반의 STEAM 융합교육:
이용수 1,240
- 영문명
- Arts-based STEAM Education: A Strategy for Educating Students with Integrated Thinking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일(Hyunil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9호, 469~4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사고와 전략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동·서양을 아우르는 과거와 현대예술작품들과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여 예술과 과학·기술의 조화로운 만남을 탐색해
보고, 작가들의 작품 창작에 대한 예술 철학을 분석하여 우리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기술 중심의 STEAM 교육이 아닌, 과학·기술과 예술의 상보적 만남을 통한 미래 인재 교육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고등학교 미술문화 과목의 ‘미술과 통합’ 단원에서 예술에 과학·기술을 융합하여 작품을 창작한 예술가들을 조사한 후, 분석을 하여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가들을 분석한 결과 가정환경, 유년시절의 흥미, 취미, 독서, (대)학교 교육이 예술작품에 과학·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을 융합할 수 있는 접근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술가들의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었던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한 전략적 방안은 타 학문과의 융합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타 분야와의 융합은 예술가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작품 창작에 필요한 창의적·확장적 사고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
다. 셋째, 예술가들의 분석을 통해서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가장 필요한 소양은 협업적 태도와 소통 능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trategy for educating students with integrated thinking ability. There are two main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examine artists who have integrated arts and various studie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Art textbooks developed by a standard of national curriculum. From this examine, I have tried to find out artists’philosophy that is important strategies when they are working on works of art, and I have also tried to draw a specific method to educate students with integrated thinking ability; the second one is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to educate students requested in the future societ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search that are focused on Art textbooks using in a high school since 2014. Through an analysis of Art textbooks based on five standards of selec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have selected five artists working with
computer technologies, science, mathematics, medical science, biology, engineering, and various stud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for educating a talented person needed in the future world is to recognize an importance of education in home and school. Second, we should teach and encourage students to have a creative and flexible mind using the concept of STEAM education which is an integrating approach
betwee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ubjects. Lastly, we as a teacher and researcher should let students know a collaborate attitude and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융합 STEM/STEAM교육의 이해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 체육 나눔 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 과정과 참여 동기 요인 탐색
- 대학의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COLT 수업관찰 분석법을 통한 초등영어 드라마 수업의 의사소통활동 분석
- 산문자료 학습에서 반복 인출연습과 문제유형이 학습 파지 증진에 미치는 효과
- 학생들의 게임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헤지(Hedge) 표현 제시 방안
- 가상현실(VR) 기반 생명과학 콘텐츠의 뇌전도(EEG) 특성
-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학교체육수업 참여정도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
- 초등교원 수급 예측 시뮬레이션모형 개발 및 타당화: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이해중심 도덕과 단원 설계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체육 실천 탐색
- 대학생이 인식한 심리적 및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예술 기반의 STEAM 융합교육:
- 여고생이 지각한 교사기대 수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교적응의 차이
- 유치원 숲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 생리학 수업에 적용한 팀기반학습,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및 강의기반 학습의 효과
-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으로 분석된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의한 학생부 및 사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대학생의 우울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 효과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에 관한 질적 연구
- 반성적 교사교육의 가능성 탐구:
- 0세반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희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미술 교과 역량 형성을 위한 미술관 교육
- 유아의 신체활동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유아 회복탄력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 자아존중감,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간의 구조적 관계
-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 A Comparison of Integrated and Isolated FFI i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Knowledge in an EFL Reading Class
- 영국 및 핀란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 초등학생의 명제로 표현된 언어에서 상징 분석을 통한 도덕심상(Moral Image) 확인 방안
- 대학생 사교육비 실태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또래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인식하는 갈등 조사 연구
- 숲해설가의 교수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 다문화수용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반영 양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탈절도 과정 연구
- 청소년의 ‘깊은 학습’(Learning-in-Depth) 실행 사례 분석:
- 유아발달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을 향하여:
-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