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이용수 778
- 영문명
- Perception & Status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낙흥(Kim NakHeung) 방효국(Bang HyoK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9호, 205~2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유아교사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7년에 진행된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연수에 참여한 대도시 지역 소재 영유아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이며, 총 229부가 회수되어 그 중 182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뉴스리터러시 관련 유아 교사의 실태와 관련하여 영유아교사들의 뉴스 관심도는 높지 않은 편이며, 교육 활용도 역시 높
지 않았다. 둘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및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영유아에게 필요하며 영·유아의 문자해독능력, 교사 지식 및 기술 부족, 연수 및 워크숍 기회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및 운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의 목표는 일상생활 속 뉴스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육 방법으로는 생활 주제와 연관이 있을 때마다 실시하는 것,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 교육의 내용으로는 뉴스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중점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대다수의 교사가 참여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한 소개에 대한 내용이 연수의 내용으로 다루어지길 원했으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방향 제시 및 유아교육 현장의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status of news litera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seek teaching method of news literacy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8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5 items. First, not
only the level of interests on news which is part of general inclin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low, but also utiliza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were not high, regarding news in education and perception on news literacy educa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news literacy education is necessary early
childhood, concerning the necessity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perception of possibility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y considered news literacy education is difficult to appl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lack of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training and workshop, lack of techniques and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literacy of young children. Third,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curriculum has to be constructed as follows; 1) the goal of the education is help early childhood become familiar with news in a daily routine. 2)news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in terms of teaching method. 3)
teaching-learning method process is discussion. 4)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news, in regards to construction of news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perception of management. Most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y would participate in training on news literacy education, and requested practical contents and detailed teaching methods.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used for foundation of educational indicator and that invigorates news literac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 체육 나눔 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 과정과 참여 동기 요인 탐색
- 대학의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COLT 수업관찰 분석법을 통한 초등영어 드라마 수업의 의사소통활동 분석
- 산문자료 학습에서 반복 인출연습과 문제유형이 학습 파지 증진에 미치는 효과
- 학생들의 게임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헤지(Hedge) 표현 제시 방안
- 가상현실(VR) 기반 생명과학 콘텐츠의 뇌전도(EEG) 특성
-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학교체육수업 참여정도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
- 초등교원 수급 예측 시뮬레이션모형 개발 및 타당화: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이해중심 도덕과 단원 설계
-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체육 실천 탐색
- 대학생이 인식한 심리적 및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예술 기반의 STEAM 융합교육:
- 여고생이 지각한 교사기대 수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교적응의 차이
- 유치원 숲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 생리학 수업에 적용한 팀기반학습,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및 강의기반 학습의 효과
-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으로 분석된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의한 학생부 및 사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대학생의 우울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 효과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공감에 관한 질적 연구
- 반성적 교사교육의 가능성 탐구:
- 0세반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희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미술 교과 역량 형성을 위한 미술관 교육
- 유아의 신체활동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유아 회복탄력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 자아존중감,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간의 구조적 관계
-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 A Comparison of Integrated and Isolated FFI i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Knowledge in an EFL Reading Class
- 영국 및 핀란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 초등학생의 명제로 표현된 언어에서 상징 분석을 통한 도덕심상(Moral Image) 확인 방안
- 대학생 사교육비 실태 분석
-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또래 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인식하는 갈등 조사 연구
- 숲해설가의 교수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 다문화수용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반영 양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탈절도 과정 연구
- 청소년의 ‘깊은 학습’(Learning-in-Depth) 실행 사례 분석:
- 유아발달과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을 향하여:
-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