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충무공 李舜臣의 삶에 나타난 天道觀 고찰

이용수  74

영문명
Study on the concept of Cheondo (the Heavenly Way) of Yi Chung Mu Gong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이찬구(Lee Chan goo)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5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592년에 일어난 조선과 일본의 전쟁을 그동안 우리는 임진왜란이라 불렀고, 일본은 文慶의 役이라 불렀다. 이이화는 두 이름이 모두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보편타당성이 없기 때문에 ‘朝日戰爭’이라 부른다고 했다. 우리는 이 조일전쟁을 대할 때, 가장 궁금한 것이 당시 조정은 무엇을 했는가 하는 점이다. 조일전쟁 발발 9년 전에, 이율곡은 이미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태평성대에 군사를 양성한다는 것은 화를 불러 온다는 반대에 부딪히고 말았다. 물론 선조는 일본의 정세를 사전에 알아보도록 통신사를 보낸 바가 있다. 황윤길은 틀림없이 전쟁이 있을 것이라 했고, 김성일은 그렇지 않다고 보고했다. 그러면 조정의 태도는 무엇인가? 전쟁자체를 아예 함구해버렸고, 이 때문에 조정에서 감히 전쟁이 일어난다는 말을 꺼내지 못했다.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에 조정에서는 이런 대화가 오가고 있었다. 아찔한 일이다.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사간원: 전라 좌수사(左水使) 이순신은 현감과 군수들이 아직 부임도 하지 않았는데, 순서를 뛰어넘어 수사로 임명되었습니다. 설사 인재가 없는 때문이라 해도...교체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조정의 대답: 인재가 없는 것만큼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람은 넉넉히 그 임무를 감당할만 하니 벼슬이 높고 낮은 것을 따질 필요가 없다. 다시 더 주장하지 말라. 1592년 4월13일 부선에 상륙한 왜군은 20일도 안되어 서울을 함락시켰고, 조정은 의주까지 몽진을 하였다. 급기야 명나라에서는 구원병이 내려오고,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나 관군과 연합전을 벌였다. 특히 남해일대에서의 수군의 승리는 전세의 판도를 크게 바꾸었다. 필자는 조선이 낳은 수군의 지휘자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의 생애에 주목할 필요를 느꼈다. 과연 忠武公(또는 公이라 칭함)은 어떤 사람인가? 최근 TV드라마는 어릴 때 불렀던 충무공의 노래(민족의 태양이요, 역사의 면류관이라...)가 다시 살아나는 듯했다. 무엇이 공을 우리가 성웅이라 부르게 하였는가에 대한 답을 천도적 관점에서 찾고 싶었다. 충무공이 전장터에서 초지일관한 철칙을 필자는 국토사랑 즉 ‘우리 땅, 우리 백성 지키기’라는 말로 요약하고 싶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한 그의 변함없는 천도관은 삶의 태도에 있어서는 미래를 대비하는 憂患(우환)의식, “必死則生, 必生則死”, 하늘에 대하여는 “順天者 存, 逆天者 亡”이라는 한 말로 집약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동안 충무공의 天사상에 관하여는 안종운이 공의 誓天(서천)사상을 유학적 천명사상과 천인일체사상으로 해석하였으며, 최두환은 공의 생사초월의 사생관을 천도적 삶으로 이해하였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시도들은 공의 삶에 대한 일부분의 관찰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아, 유학적 천도관을 기본으로 하되, 우리의 고유한 전통적 가치관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필자는 16세기 퇴율의 천사상을 조명해보고, 이어 화랑 풍류도와 고유한 선비정신도 검토해 보았다. 금장태는 역사는 변화하는 현실세계 속에서 불변하는 법칙이 드러나는 현장이며, 그 불변의 법칙은 바로 天道요 天理하고 하고, 그 천도가 드러나는 양상에 하나는 자연의 변화질서로서 구현되는 것과, 다른 하나는 도덕적 가치의식으로 구현된다고 보았다. 그 구체적인 예가 천도의 원형이정이 도덕적 규범으로는 인의예지로 나타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둘의 관계처럼 천도와 규범을 오가며 충무공의 삶을 천도적 관점에서 항목별로 알아보고자한다.

영문 초록

I analyzed the contents of Confucianism and Native spirits of Sun-bi, which Yi Sun Sin ( Chung Mu Gong 忠武公), in order to study on the concept of Cheondo (the Heavenly way;天道). Master Kong(孔子) said, If one does not know the decree of Heaven(天命), one has no way of becoming a noble man; if one does not know the rituals(禮), one has no way of establishing oneself. Thus, the self- awakening of the decree of Heaven is that of impartial self concerning humanity and it corresponds to that of the Heavenly way. Chung Mu Gong s ideas was owing much to assimilate spiritual food by name of the Confucianism. But Cheondo of Chung Mu Gong has specific difference from fucianism, and this difference formed the peculiar concept of Cheondo of Chung Mu Gong. Especially, we can find the St. here Chung Mu Gong within the Native spirits of Sunbi(선비, 仙郞) -as a Hwarang(花郞). Their standard of value went far beyond the individual to include the nation. And training was apparent in their practical love of country. The thoughts of the Hwarang had been reorganized Han thought. In other words, it preced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Hwarang spirit had influence on Chung Mu Gong patriotism.(愛國心) Cheondo of Chung Mu Gong can be categorized into the indomitable spirits of Sun-bi, Choong Hyo(loyalty and filial duty忠孝) spirit, Consciousness of Anxiety(憂患意識), the Keeping of Country Land(國土守護), Transcendence of Life and Death(生死超脫), and Sincerity moves Heaven(至誠感天). Specially,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duty for reality were reflected in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long ago, even before Confucian rites were introduced, Koreans practiced ancestor worship. It is something that arises from this view of life and death as a unified whole.(生死一如)

목차

1. 서언
2. 16세기 천명과 천도사상이해
3. 충무공의 삶과 조일전쟁
4. 삶에 나타난 천도관의 유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구(Lee Chan goo). (2005).충무공 李舜臣의 삶에 나타난 天道觀 고찰. 이순신연구논총, (5), 1-29

MLA

이찬구(Lee Chan goo). "충무공 李舜臣의 삶에 나타난 天道觀 고찰." 이순신연구논총, .5(2005):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