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esign Pattern of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공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화(Lee Eun hwa) 배원병(Bae Won Byong)
- 간행물 정보
- 『공학교육연구』제10권 제3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에 기초하여 기계공학부의 전공교육과정 중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 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rake & Burns(2004)가 제시한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모 형과 Toohey(1999)의 대학교육과정 설계유형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의 조직요소간의 관계와 설계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는 각 과목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의 구체적 정보, 주제와 주요 개념의 순서로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고, 공학설계에 관련된 기초기능, 범학문적 기능과 고급 기능을 순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둘째, 분석대상인 창의적 공학설계, 설계 및 제작과제와 졸업설계 및 제작과제의 교육과정 설계유형은 프로젝트, 탐구, 문제 중심설계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교육내용들 간의 연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esign pattern o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of P University based on the curriculum design model. For this study, the relation model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by Drake & Burns(2004) and university curriculum design pattern by Toohey(1999) were used as a frame of the analysis. From the analysis, we confirmed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in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was designed to acquire the knowledges of facts, topics, and concepts and then to improve low-level skills, broad-range skills, and high-level skills related to engineering design sequently.
Secondly, the design pattern of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analyzed in this paper is a project and problem based structure. This result will be useful for reviewing and improving the relation betwee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