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iderations for Helping Korean Students Write Better Technical Papers in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공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이진(Yeejin Kim) 박보영(Bo Young Pak) 이창하(Chang-Ha Lee) 김문겸(Moon Kyum Kim)
- 간행물 정보
- 『공학교육연구』제10권 제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어 논문의 작성 능력은 오늘날 공학도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질이다. 주요 해외 저널에 얼마나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느냐가 학문적 성과를 평가하는 주된 척도라는 점과 주요 해외 저널들이 보다 많은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영어로 쓰여진다는 점 때문에 영어 논문 작성 능력에 대한 필요성은 한국을 포함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모든 국가들에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에 있는 이공계 대학들은 석/박사 연구원들의 영어 논문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정규적인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은 구체적인 기술 논문 작성 방법론에 대한 문헌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원어민(Native Speaker)을 위한 기술 논문 작성 방법론에 대한 문헌이나 EFL 학습자들을 위한 일반적인 영어 작문법에 대한 문헌은 많이 있지만, EFL 학습자들을 위한 기술 논문 작성법에 대한 지침서나 문헌은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보고서의 목적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영문 기술 논문 작성에 대한 교육 방법론이 생소한 한국에서 이공계 연구원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는 EFL 강사들 에게 제기될 수 있는 일반적인 논제들을 제시한다. 이 논제들은 적절한 강의 접근법(Teaching Approach), 최적의 학생 배치(Class Arrangement), 그리고 컴퓨터 학습 도구의 활용뿐 아니라 대조 수사학 (Contrastive Rhetoric)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둘째, 실제적인 강의 제안서도 제시한다. 본 강의 제안서는 기술 논문 작성법 강의 수강생들의 작문 샘플에 대한 분석 결과와 기술 논문 작성법에 대한 자가 진단 설문 응답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작성하였고, 한국인 EFL 학습자가 기술 논문 교육 과정을 통하여 문법(Grammar), 과정(Process), 장르 기술(Genre Skills) 등을 골고루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보고서는 EFL 기술 논문 과정의 개발에 대한 여러 일반적인 논점들을 공유함으로써 기술논문 교육방법론 연구가 부족한 한국의 공학 교육계에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For Korean researchers, English is essential. In fact, this is the case for any researcher who is a non-native English speaker, as recognition and success is predicated on being published, while publications that reach the broadest audiences are in English. Unfortunately, university science and engineering programs in Korea often do not provide formal coursework to help students attain greater competence in English composition. Aggravating this situation is the general lack of literature covering this specific pedagogical issue. While there is plenty of information to help native speakers with technical writing and much covering general English composition for EFL learners, there is very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to help EFL learners become better technical writers. Thu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wofold. First, as most Korean educato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 not well acquainted with pedagogical issues of EFL writing, this report provides a general introduction to some relevant issues. It reviews the importance of contrastive rhetoric as well as some considerations for choosing the appropriate teaching approach, class arrangement, and use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tools. Secondly, a course proposal is discussed. Based on a review of student writing samples as well as student responses to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he proposed course is intended to balance the needs of Korean EFL learners to develop grammar, process, and genre skills involved in technical writing. Although, the scope of this report is very modest, by sharing the considerations made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EFL technical writing course it seeks to provide a small example to a field that is perhaps lacking examples.
목차
Ⅰ. BACKGROUND & CONSIDERATIONS
Ⅱ . COURSE PROPOSAL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