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승진 영향요인과 직무특성이 공무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7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박시진 홍원기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7권 제1호, 141~1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간 학계에서는 공무원 직무만족 향상을 통하여 공무원의 사기를 증진시키고 직무수행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여 궁극적으로 정부조직 성과를 개선하려는 목적의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외재적・내재적 요인들이 공무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공무원들의 승진기회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하였으나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 요인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였다. 또한, 공무원의 직무특성에 대한 전반적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승진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과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 결과, 공무원들의 직무에 대한 동기가 이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자신의 직무의 특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직무에 대해 내재적 동기를 느끼는 공무원일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다는 바를 시사한다. 반면에 공무원들의 승진 영향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인식들과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공무원들이 성과, 경력, 직무의 중요성, 대인관계, 비공식 네트워크를 소속 기관의 실질적인 승진 영향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이 이들의 직무만족 수준과 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공무원 직무만족에 관한 기존 연구
Ⅲ. 공무원 직무만족 영향요인
Ⅳ. 분석의 틀과 분석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