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철학’ 용어의 의미 분석
이용수 180
- 영문명
- The meaning of ‘Educational Philosophy’: by the usage of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장지원(Chang, Chi-Wo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66集, 77~1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educational philosophy’ by the method of corpus analysis. There is the difference of meaning on educational philosophy between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publics.
This semantic phenomenon implies that the image acoustics of ‘educational philosophy’ are not matched between two groups. This study, which originated from Saussure s linguistics theory, examined the semantics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 Unlike philosophical inquiry on education,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the general public use ‘educational philosophy’ like the connotation of secret of successful learning and child nurturing. Given the power of the media and the mass, these tendency could affect the meaning and defini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Professional researchers should investigate these acoustic image from the sense of linguistic and educational approaches. These researches could contribute to clarify descriptive and normative mean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소쉬르의 의미론과 코퍼스의 활용
Ⅲ. <물결21 코퍼스>를 활용한 ‘교육철학’의 의미 분석
Ⅳ.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